2007년 10월‘다시 한번 까딸루냐 찬가’ 개설
지난해 라디오방송 시작…누적방문자수 60만명“시간이 없어서…”, “잠자기도 바쁜데….” 블로그를 하느냐고 물어보면 상당수 기자들이 머리를 긁적거리며 하는 말들이다. 그 말들의 이면에는 상대적으로 한가한(?) 기자들만 블로그를 한다는 선입견이 깔려 있다. 마감에 치이고 취재원들에게 치여서 사는 기자들에겐 일정 부분 맞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블로그를 운영하는 기자들이 적지 않다. 잠을 줄여가며, 점심을 대충 때우고 블로그에 글을 올린다. 물론 기자생활을 소홀하게 하는 것도 아니다. 기자 파워블로거 첫 주인공인 한겨레 허재현 기자도 그 축에 속한다. 2007년 8월 입사한 2년차 신참기자로 발바닥에 불이 날 정도로 현장을 뛰어다닌다. 그는 2007년 10월부터 ‘다시 한번 까딸루냐 찬가’(http://blog.hani.co.kr/catalunia)라는 블로그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블로그 이름은 ‘동물농장’ ‘1984’ 등으로 유명한 조지 오웰의 소설 ‘까딸루냐 찬가’에서 따왔다. 대학 때 이 소설을 읽고 감명을 받았다는 그는 소설 내용처럼 세계 민중연대를 꿈꿔보는 소망을 갖고 있다고 했다.
허 기자가 블로그를 하게 된 것은 기사 이외에 취재 뒷이야기 등을 인터넷에 올리면 한겨레 사이트를 찾는 독자들이 좋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처음엔 취재 뒷이야기나 수습기자의 일상, 개인적 취미인 영화 이야기 등을 일주일에 한 차례 정도 쓰는 게 전부였다.
그런 글쓰기에 변화가 온 것은 지난해 10월부터. 그의 블로그가 ‘미디어다음 블로거뉴스’에 노출되면서 방문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하루 2만~3만명의 누리꾼들이 방문한 것도 여러 차례. 그 전까지 10만명 수준이었던 방문자수는 최근 한두 달 새 30만명이 넘었다. 누적방문자 수는 1월13일 현재 59만여명.
“누리꾼들의 반응을 보면서 블로거가 하나의 미디어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았어요. 옛날에는 써도 그만, 안 써도 그만이었는데…. 부담이 되는 거 있죠. 글 쓰는 횟수부터 늘렸어요. ‘킬’된 기사를 올리고, 블로그 전용 아이템도 찾으면서 새로운 콘텐츠를 고민했죠.”
그렇게 탄생한 것이 라디오방송이다. 음악과 시사문제 등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그의 목소리로 녹음해 내보내는 것으로, 첫 방송은 지난해 12월2일 전파를 탔다. ‘라디오를 켜봐요’라는 제목의 이 프로그램에서 그는 기획, 극본, 연출, 진행까지 1인 4역을 하고 있다.
방송은 어렵지 않다고 했다. 집에서 방송을 녹음한 뒤 그 파일을 한겨레 서버에 올리면 끝나기 때문. 대학 때 인터넷에서 라디오방송을 했던 경험이 큰 도움이 됐다. 지금까지 세 차례 방송됐는데 말 그대로 ‘빅히트’를 치고 있다. ‘새롭고 흥미로운 시도’ ‘방송의 블루오션’이라는 찬사가 누리꾼들 사이에 퍼지고 있다.
최근에는 한겨레 취재영상팀 은지희 PD가 프로그램 연출에 합류했다. 그는 2주에 한번 정도씩 이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라디오 프로젝트는 3월 개국 예정인 한겨레 웹방송에서 고정코너로 예약된 상태다. “내가 쓴 기사를 목소리로 전달하는 것이 재미있을 것 같아 실험삼아 해봤는데 반응이 좋았어요. 신문 기사 외에도 독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많다는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해 알았지요.”
그는 멀티미디어 기사를 생산하는 취재영상팀 소속이다. 경찰서에서 수습생활을 끝낸 뒤 이 팀에 발령받았다. 온라인에서 독자들과 소통하는 방식을 늘 고민하는 팀 분위기는 그의 블로그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가하게 웬 블로그…’라는 불편한 시선에서 벗어날 수 있을뿐더러 블로깅을 장려받을 수 있어서다.
딜레마도 없지 않다. 블로그에 매여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유시간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집에 가서도 블로그에 뭔가를 써야 한다는 압박감도 적지 않다. 그래서 스스로 즐기지 않으면 제대로 된 블로그를 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블로그를 통해 독자와 호흡하고 소통하는 것이 즐거워야 지속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그는 하나를 덧붙인다. 바로 사명감이다. 독자를 즐겁게 할 만한 것들이 뭐가 있을까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이다.
기자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일반인보다 여러 모로 유리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남들이 가지 못한 곳을 갈 수 있고, 일반인이 만날 수 없는 사람을 만날 수 있어서다. “기자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정보를 얻고 그 정보를 토대로 기사를 생산합니다. 하지만 정작 독자들에게 전달되는 정보량은 극히 일부에 불과해요. 썩히기에 아까운 콘텐츠들이 기자들의 노트북에는 무한정 저장돼 있는 셈이죠. 독자를 위해 기자의 노트북을 열어야 합니다.”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