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진보매체 정권 바뀐 뒤 재정난 심화

유료독자 확보·임금삭감 등 자구책 마련

  • 페이스북
  • 트위치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오마이뉴스 등 온라인 진보 매체가 생존에 크게 위협받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들 매체에 경영 위기가 닥치면서 자발적 유료독자를 확보하는 등 경영난 해소에 나섰으나 뚜렷한 해결책이 없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00년 2월 창간된 오마이뉴스는 창간 10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해 7억여 원의 적자를 본 오마이는 올해 상반기에만 5억원의 적자를 냈다. 오마이뉴스 측에 따르면 인건비와 원고료, 서비스 비용 등으로 월 평균 4억5천만원이 들어가는 구조다. 오마이는 적자난 해소를 위해 지난 3월 평직원은 20%, 간부는 30%, 대표는 40%의 임금을 삭감했다.

이에 따라 오마이는 지난달 9일부터 유료 독자 확보에 뛰어들었다. ‘10만인클럽’을 제안한 것. 10만인클럽은 월 1만원씩 정기적으로 오마이에 구독료를 지불하는 사람들로, 오마이는 올해 목표를 1만명으로 잡고 있다. 최종 목표치인 10만인 달성은 3년 후로 내다보고 있다.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는 최근 “오마이의 전체 수입 가운데 기업광고와 협찬이 차지하는 비중이 70~80%에 달하고 독자의 자발적 구독료는 5% 내외”라며 유료독자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미 비슷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프레시안이 지난 2007년 말부터 ‘프레시앙’이라는 이름으로 유료 독자 운동에 나섰으나 1년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성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오마이와 프레시안은 나은 상황. 참세상, 레디앙, 뷰스앤뉴스 등 다른 온라인매체들의 여건은 더 좋지 않다.

이들의 경영난은 정권 교체 이후 가중됐다. 실제로 민주당 최문순 의원은 지난달 1일 정부 광고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언론재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정부광고 집행현황(2008년 2월~2009년 6월)’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보수 성향의 매체나 단체에 정부광고가 집중됐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이들 매체에 대한 직간접적인 정치권의 압박도 설 자리를 잃게 만들고 있다. 포털사이트 다음은 지난 6월30일 이후 프레시안의 뉴스 공급을 중단했다. 당시 다음의 일부 관계자들은 “정부 측이 지속적으로 정치적 균형을 맞춰 달라고 해 프레시안, 뷰스앤뉴스 등을 빼게 됐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한 진보 매체 관계자는 “정권이 바뀌고 난 뒤 경제적, 정치적 압박이 심해진 것은 사실”이라며 “정보력에서 밀리는 등 취재에도 여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오프라인 매체처럼 광고와 충성 독자에게 과도하게 기대는 형태로는 장기적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온라인 매체 특유의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해 독자를 유인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이유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