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말한다. “영남에 맛있는 요리가 있어?” 때론 이런 말도 덧붙인다. “거긴 한국에서 제일 먹을 게 없는 도시들이야.” 과연 그럴까? 호남에서 4년, 서울에서 18년, 나머지 시간을 영남에서 살고 있는 필자로선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면 뭔가 말하고 싶은 열망에 몸이 들썩거린다.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영남 음식>은 그런 이유에서 발원한 졸고다. [편집자 주]
지금도 그러는지 모르겠다. 내 선배들인 1980년대 대학생과 내가 신입생이던 1990년대 초반 대학생들은 캠퍼스 잔디밭에서 곧잘 술판을 벌이곤 했다.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등 군인이던 사람들이 정권을 탈취해 권위적인 공포 통치를 이어가던 끝 무렵.
머리칼조차 마음대로 기를 수 없는 경직된 고교 시절을 보낸 우리는 대학 입학의 해방감과 거기서 느끼는 자유를 ‘대낮 만취’라는, 어른들이 보기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만끽하곤 했다. 철없던 스무 살 시절이었으니 있을 수 있는 통과의례 같은 것이었다.
막걸리를 마실 때면 과자 부스러기가 안주였고, 소주를 마실라치면 마른오징어 한두 마리가 신문지를 깐 잔디밭 위에 놓였다.
취기가 오르면 “술 마시고, 노래하고, 춤을 춰봐도 가슴 속엔 하나 가득 슬픔뿐이네”라는 염세적인 노래를 부르는 애들이 있었고, 또 다른 쪽에선 “동지들 모여서 함께 나가자. 무등산 정기가 우리에게 있다”는 비장한 가사가 들려오기도 했다.
어쨌건 그 시절엔 오징어가 부모에게 용돈을 받아 쓰는 학생들도 어렵지 않게 먹을 만큼 값싼 안주였다.
많지 않은 아버지의 월급으로 내핍하며 살림하던 엄마도 냉동오징어 정도는 넉넉하게 사서 숙회를 만들거나, 찌개나 국을 한 냄비 가득 끓여 밥상 위에 올리곤 했으니까.
좀 더 나이가 들어서는 살아있는 오징어를 재빠른 칼질로 썰어낸 산오징어회와 내장과 먹물까지 맛볼 수 있는 통오징어찜도 자주 먹었던 기억이 난다. 그것들 역시 주머니 가벼운 직장인들의 만만한 안주 역할을 했다.
오징어는 쫄깃하게 씹히는 식감과 짭짤하고 고소한 맛으로 많은 사람들을 유혹한다. 그렇기에 호오(好惡)가 거의 갈리지 않는 식재료이기도 하다. 한국인이라면 남성과 여성, 아이와 어른 가릴 것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 오징어를 즐겨 먹는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징어의 어획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바다 오염과 기후 변화가 이유라고 하는 사람이 있고, “중국 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으로 씨가 말랐다”는 말도 들려왔다.
실제로 그랬다. 몇 해 전 어느 특정한 기간엔 산오징어회의 가격이 고가로 이름 높은 돌돔회 시세에 육박했다. 말린 오징어 한 축이 쌀 한 가마니 가격을 위협하던 때도 있었다.
오징어 값은 요즘에도 등락을 거듭하고 있지만, 다행스럽게도 비싸서 도저히 먹을 수 없을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 오징어 좋아하는 이들에겐 ‘굿 뉴스’가 분명하다.
동해가 지척인 도시 포항에서 생활하는 나와 직장 동료들은 가까운 어시장이나 해변에 즐비한 횟집에서 가끔 오징어물회를 맛보고 있다. 다른 어떤 생선으로 만든 물회보다 감칠맛이 좋다.
‘오징어’라는 단어를 발음하면 쌍둥이 형제처럼 같이 떠오르는 섬이 있으니 바로 ‘울릉도’다.
55년을 살아오며 울릉도는 딱 한 번 가봤다. 울릉도 해안 일주도로가 완공된 2019년이었고, 버스를 이용해 울릉도를 한 바퀴 돌아본 후 기사를 쓰기 위해서였다.
넘어진 김에 쉬어 간다고 취재를 마친 후 이틀쯤 더 울릉도에 머물렀다. 그때 따개비밥과 약소불고기를 시작으로 어지간한 울릉도 별미는 대부분 맛봤으니 운이 나쁘지 않았다.
그 기간 먹어본 울릉도 음식 가운데 가장 기억에 남는 건 다른 어떤 지역에서도 보기 힘든 ‘오징어내장탕’.
“내장을 많이 넣어 끓여야 제맛이 나기에 1인분은 팔지 않는다”는 식당 주인을 억지로 구슬려 먹었던 요리. 하얀 오징어 내장과 콩나물, 무, 애호박 등을 넣어 맑게 끓인 탕이었다.
맛은 어땠냐고? 식당 주인의 말이 맞았다. 애초 기대했던 구수함과 눅진함은 없었다. 전문가의 말은 틀리는 경우가 별로 없으니. 그럼에도 오징어의 내장이 혀 위로 부드럽게 녹아들던 느낌은 생생하다.
만약 다시 한번 울릉도에 갈 기회가 생긴다면 그때는 친구들 여러 명과 동행해 내장이 듬뿍 들어간 제대로 된 오징어내장탕을 먹어보고 싶다. 2019년에 맛본 것과 어떻게 다를까? 궁금하다.
[필자 소개] 홍성식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중·고교 시절. 영어 단어와 수학 공식을 외우라는 교사의 권유를 거부하고, 김지하와 이성부의 시를 읽으며 ‘미성년자 관람 불가’ 영화를 보러 극장에 드나들었다. 그 기질이 지금도 여전해 아직도 스스로를 ‘보편에 저항하는 인간’으로 착각하며 산다. 노동일보와 오마이뉴스를 거쳐 현재는 경북매일에서 일하고 있다.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영남 음식] 전체 목록 보기
홍성식 경북매일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