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가 창간 80주년을 맞아 ‘지역언론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돌아보는 토론회를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었다. 경인일보가 주관하고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 주최한 이날 토론회엔 홍정표 대표이사 사장과 조영상 편집국장을 비롯한 경인일보 임직원, 여야 국회의원, 언론계와 학계, 경기지역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토론회는 황의갑 경인일보 독자위원장(경기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이 좌장을 맡고 조용준 경인일보 독자위원회 위원(경제학 박사)과 김해영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 각각 주제 발표를 한 뒤 지정토론을 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조용준 박사는 ‘지역언론의 사회적 역할과 법적 재정적 지원 정책 방향’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여러 대안매체의 등장으로 전통 언론의 독점적 영향력이 약화했고, 광고도 줄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언론의 재정적 자립 기반 확보를 위해 ‘시민참여형 공익구독제’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공익구독제에 대해 조 박사는 언론이 권력이 아닌 시민의 눈치를 보게끔 구조 변화를 통해 언론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유지하는 제도라 설명했다.
‘디지털 시대 지역신문 가치의 재발견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김해영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지역신문은 단순한 뉴스 매체를 넘어, 지역의 역사와 의제를 기록하고 축적하는 공공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한다”며 “지역신문 지원 정책은 효율성 중심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 지역신문은 민주주의의 필수재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 환경과 포털뉴스 확대에 대해 △지역신문의 질적 평가 강화 △기금 외의 지원과 협업모델 개발 △AI와 방송사업자, 포털 등과 상생·협업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선 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 윤태욱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과장, 민진영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가 나서 △지역언론에 대한 정부의 지원금 확대 △지역언론사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미디어바우처 제도 도입 등 현안에 관해 토론했다.
홍정표 경인일보 사장은 “시대가 변하고 기술이 진화해도 언론의 사명과 지역민의 신뢰를 가장 큰 자산으로 삼고 있다”며 “경인일보가 지역 민주주의의 파수꾼으로서, 도민·시민의 삶과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