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구성원 10명 중 6명 "노동 강도 과하다"

전국언론노조 SBS본부 '노동환경 실태 설문' 결과
과반 주52시간 넘게 근무… 34% "월 5일도 못 쉰다"

  • 페이스북
  • 트위치
전국언론노동조합 SBS본부가 6일 발간한 노보.

SBS 구성원들 상당수가 과로한 노동에 시달리고도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언론노동조합 SBS본부가 6일 공개한 ‘노동환경 실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SBS 조합원 10명 중 6명 이상이 노동 강도가 어떠냐는 질문에 ‘과하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3개월 평균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 이상’ 된다고 답한 조합원은 10명 중 5명이 넘었고, ‘61~70시간’ 10.9%, ‘71~80시간’ 8.3%, 심지어 ‘81시간 이상’ 근무한다고 답한 인원도 6.6%나 있었다. 81시간 이상 살인적인 노동을 하고 있는 조합원은 3년 전 조사와 비교해 1.9%p 늘었다.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한 노동이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모두가 초과 근무 수당을 입력하진 않고 있었다. 조합원 가운데 43.8%가 ‘모두 입력하지 않을 때도 있다’고 답했고 그 이유로 △눈치가 보여서 △결재권자가 시간 외 수당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해서 △퇴근 후 집에서 업무 보는 경우는 입력하기 애매해서 △너무 바빠서 등을 꼽았다.

또 최대 근무시간을 초과한 경우 연차나 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제일 적절한 방법이지만 아직도 ‘자율적 OFF(대체휴무) 사용이 어렵다’는 답변도 절반을 넘었다. 구성원들은 그 이유로 △프로그램에 따라 상황이 달라져서 △눈치가 보여서라고 응답했다.

언론노조 SBS본부는 “고질적인 인력 부족으로 인해 개인의 정당한 OFF 사용조차 여러 사정을 고려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기저에 깔려 있다”며 “노사가 합의한 ‘시간 외 근무수당 및 유연근무제 협약’은 장시간 연속 근무를 하는 직원들의 필수 휴식시간을 보장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설문조사에서 ‘장시간 근무 후 충분한 휴식이 보장되고 있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50%에 육박해 노동자의 건강권이 위험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구성원들은 장시간 근무를 하고도 충분한 휴식을 보장받지 못하는 이유로 △업무 수행 인원 부족 △기한 내 마쳐야할 업무가 많아서 △상사의 지시 혹은 부탁 등을 이유로 꼽았다. 특히 충분한 휴식을 보장해야 할 상사가 오히려 부당한 연속 업무를 지시하거나 부탁했다고 답변한 구성원 비율은 30%에 달했다. 그 중엔 △본인 임기 중 리프레시 휴가를 사용하지 말라고 지시하거나 △철야 근무로 퇴근한 이후에 업무 지시 △업무량 상관없이 무조건 시간 내 완수 지시 △주말에 무조건적인 대기 지시 등을 하는 상사도 있었다.

‘시간 외 근무수당 및 유연근무제 협약’에서 SBS 노사는 최소 월 6일의 휴무는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번 설문조사에서 월 평균 휴식일이 5일 미만인 조합원은 34%에 달했다. 구체적으로 ‘월 평균 3~4회’ 17.2%, ‘월 평균 1~2회’ 12.8%, 심지어 ‘없음’이라 답한 조합원도 4%나 있었다.

구성원들 대다수(72.3%)는 시간 외 수당이나 유연근무제 수당에 대해서도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다. 적정하지 않은 이유로 △물가상승 △노동 강도 대비 턱없이 부족 등을 꼽았고 특히 △법적으로 시간 외 수당은 통상임금의 1.5배여야 함 등을 요구하는 조합원이 많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SBS, SBS A&T, 스튜디오프리즘, 스튜디오S 소속 조합원을 상대로 9월22일부터 10월1일까지 10일간 진행됐다. 조사엔 총 303명의 구성원이 응답했다. SBS본부는 “‘시간 외 근무수당 및 유연근무제 협약’의 유효기간 3년을 앞두고 사측과 협상에 나선다”며 “조합원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고, 개개인의 건강권이 최대한 보장받을 수 있도록 이번 협상에서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