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생존 위해선 AI 기술 아닌 '인간 기자' 투자해야"
			30일 한국언론재단 주최 '2025 KPF 저널리즘 컨퍼런스'
르몽드 "AI, 기자 대체 못 해"… 2010년 대비 기자 수 2배 늘려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 언론이 살아남기 위해선 ‘AI 기술’이 아니라 ‘인간 기자’에 투자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3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KPF 저널리즘 컨퍼런스’에선 AI 시대 언론의 생존 공식은 역설적으로 독자와의 인간적 연결을 강화하고 신뢰성을 높이는 데 있다며 언론이 뉴스룸에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이날 기조연설에 나선 루이 드레퓌스 프랑스 르몽드 그룹 CEO는 “2010년부터 뉴스룸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투자에 박차를 가해 당시 310명이던 기자 수를 올해 560명으로 2배 가까이 늘렸다”며 “많은 독자에게 도달하려면 더 폭넓은 주제를 다뤄야 하고 그러려면 더욱 많은 기자가 필요했다. AI 기술이 아닌 기자를 채용하는 데 투자한 것이 바로 우리의 성공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르몽드는 2023년 AI 윤리헌장을 제정, ‘AI가 기자를 대체할 수 없다’는 원칙을 세우고 2010년 대비 기자 수를 두 배 가까이 늘렸다. 그 결과 르몽드는 지난해 기준 디지털 구독자 58만명을 확보하며 프랑스 전체 디지털 구독 성장의 33%를 견인했고, 다양한 소셜미디어에 투자해 X(옛 트위터) 팔로워 1090만명을 확보하는 등 젊은 독자층 확대에도 성공했다. 드레퓌스 CEO는 “새로운 독자들에게 다가가는 것이 우리 입장에서는 중요하다”며 “AI 같은 새로운 툴을 통해서도 독자들을 우리 쪽으로 유입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르몽드는 지난해 프랑스 언론 최초로 OpenAI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드레퓌스 CEO는 “이렇게 대형 플랫폼과 파트너십을 맺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AI가 놀라운 기회인 것은 맞지만 저널리즘을 완전히 대체하진 않는다. 우리는 윤리헌장을 통해 끊임없이 의문을 던지고 있으며, AI의 도움을 받아 기자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많은 기사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기자 수를 향후 3년간 10~15% 더 늘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컨퍼런스에 발표자로 참여한 유럽방송연맹 뉴스리포트의 주 저자, 알렉산드라 보르하르트 박사도 AI 시대, 기자의 가치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르하르트 박사는 AI가 대체할 수 없는 기자의 역할로 △인간적 교류와 연결 △진정성과 공감 △오감을 이용한 관찰 △적확한 질문 판단 △직접 조사와 탐사 △독특하고 놀라운 내용의 발견 △책임성 등 7가지를 제시하며 “AI는 흉내만 낼 뿐, 진짜 인간이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간은 ‘이 자리에 서서 내가 취재한 기사에 대해 책임을 지고 질문이 있으면 받겠다’고 말할 수 있지만, AI는 그런 역할을 할 수 없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기자는 단순 콘텐츠 제작자가 아닌 ‘의미 생성자’로 진화해야 한다. 또 독자와의 인간적 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 언론, 구조혁신 없이 AI 기술만 도입하면 부정적 측면 증폭될 수도”
이날 컨퍼런스에선 기자가 AI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류현정 조선비즈 콘텐츠전략팀장은 “AI와 인간이 힘을 합치면 그 어떤 인간보다, 그 어떤 AI보다 더 뛰어나다”며 “AI는 정확하지 않지만 AI와 인간이 힘을 합치면 더 폭넓게 실체적 진실을 탐색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자들의 목표는 더욱 커져야 하고, AI를 활용한 굉장한 스케일의 보도, 또 초정밀 맞춤형 보도가 결합할 때 진정으로 정보 생태계의 중심에 다시 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한국 언론의 현실이 AI 기술을 단순 도입하기엔 녹록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함형건 YTN AI 특임국장은 “르몽드나 뉴욕타임스와 달리 한국 대부분의 언론사는 수십 년간의 관행과 의사결정 구조를 그대로 갖고 있다”며 “구조 혁신 없이 AI 기술만 도입하면 부정적 측면이 오히려 증폭될 수 있다. 한국 언론이 정치권의 시시콜콜한 언사들을 우리 사회 마땅히 조명 받아야 하는 영역보다 10배, 100배 더 증폭하고 있는데, AI로 생산성만 높이면 이런 부정적 측면이 더 커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현지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사업전략팀장도 “우리가 독자와의 접점을 직접 만들지 않으면 빅테크의 콘텐츠 공급자로 전락할 것이라는 말씀을 1년 전에 드린 적이 있는데, 구체적인 수치를 말씀드리긴 그렇지만 요즘 저희 홈페이지 유입률 자체가 놀랄 정도로 많이 떨어졌다”며 “그동안 우리는 독자와의 접점을 늘리려는 시도를 거의 하지 않았다. 현재 저렴한 빅테크들의 서비스를 이용하며 우리만의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만들려 하지만 지금까지 눈에 띄는 성공 사례는 없다”고 말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