쉰다섯에야 알게 된 산채 안주로 박주 마시는 즐거움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영남 음식] (16) 산나물

사람들은 말한다. “영남에 맛있는 요리가 있어?” 때론 이런 말도 덧붙인다. “거긴 한국에서 제일 먹을 게 없는 도시들이야.” 과연 그럴까? 호남에서 4년, 서울에서 18년, 나머지 시간을 영남에서 살고 있는 필자로선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면 뭔가 말하고 싶은 열망에 몸이 들썩거린다.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영남 음식>은 그런 이유에서 발원한 졸고다. [편집자 주]



추사 김정희와 함께 조선에서 필체 좋기로 으뜸을 다툰 이가 있다. 한호(韓濩)다. 1543년 개성에서 태어난 그는 당대 풍류묵객 다수가 그러했듯 술을 어지간히도 좋아했던 모양.


한호는 종장(終章)이 근사한 시조 한 수를 남겼는데, 1980년대엔 그게 중학교, 혹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렸다. 그 시절 까까머리 고등학생이었던 내 기억 속에 선명하다. 이런 노래다.

짚방석 내지 마라 낙엽엔들 못 앉으랴.
솔불 켜지 마라 어제 진 달 돋아 온다.
아해야, 박주산채(薄酒山菜)일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16세기 말에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시조를 21세기 방식으로 다시 써보면 재밌을 듯하다.

대리석 바닥 깔린 근사한 살롱이 아니라도 좋다.
휘황한 조명과 신나는 음악이 없으면 또 어떠랴.
보시게, 여기 산나물 한 접시에 탁주 한 병 가져오게나.

앙상한 가지 끝에 맺히는 두릅 순. 나무에서 자라는 보약과도 같다. /픽사베이

경상북도 영양군은 시인 조지훈과 소설가 이문열을 낳은 문향(文鄕)이다. 산이 깊고 골짜기마다 철 따라 화사한 꽃이 피는 곳.


사람들에겐 알싸하고 달달한 고추의 산지로 유명한 영양엔 그럴듯한 산나물 식당이 몇 곳 있다. 군(郡)의 이름을 걸고 산나물축제가 열릴 만큼 이런저런 나물이 흔한 영양군에 처음 간 건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쯤이다.


동행한 둘은 당시 모두 예순을 넘긴 사람들. 먼 길을 가느라 점심을 시원찮게 먹은 나는 저녁엔 소고기 구워 선배 자동차 트렁크에 실린 고급 양주 ‘조니워커 블루’를 마실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런데, 이게 뭐냐? 기대는 보기 좋게 깨졌다.


선배들이 문을 밀고 들어간 식당은 산채(山菜)를 파는 곳이었다. 연이어 내 의견은 묻지도 않고 주문을 했다.


“여기 산채정식 3인분에 막걸리 하나 주시오.”


식탁 위엔 열 가지는 분명 넘고, 아니 스무 가지도 넘는 온갖 나물에 된장찌개와 밥이 놓였다. 그 많은 나물 중 내가 이름을 아는 건 겨우 고사리와 도라지 정도. ‘풀 반찬’을 싫어하는 내 얼굴은 찡그려졌지만, 그와 별개로 놀라움이 성큼 다가왔다. 세상에 사람이 먹는 나물이 그처럼 많다는 걸 그날 처음 알았으니.

다양한 산나물로 차려진 한 상. '풀때기'의 맛을 안다는 건, 지긋이 나이 들어간다는 의미다.

한국인, 그 가운데서도 나이 지긋한 이들의 ‘나물 사랑’은 대단하다. 유명인이라고 다를 바 없다. 늘그막의 미당 서정주는 두릅을 먹기 위해 봄을 기다렸고, 노년의 정치인 김영삼의 아침상엔 언제나 시래깃국과 나물 한두 가지가 반찬으로 올랐다고 한다.


산나물을 채취하는 이들의 동물적 감각과 축적된 경험에서 오는 선별법은 기가 막힌다.


산과 들에 지천으로 깔린 수백, 수천 가지의 풀 가운데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 뜯어서 즉시 먹는 것과 데쳐서 말려 먹는 것, 약이 되는 식물과 독초를 신묘하게 가려낸다. 살아생전 외조모도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였다고 들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전원사시가(田園四時歌)> 등의 고문헌엔 약용 나물과 독초의 구별법, 철 따라 나오는 산채의 종류 따위가 기록돼 있다. 그러니, 우리가 나물을 상식(常食)한 건 아주 오래고 오래된 옛날부터가 아닐지.

이토록 다양한 산나물을 내어주는 봄의 산은 참으로 고맙고 귀하다.

시계를 지난해 봄으로 돌린다. 두 번째로 영양군을 찾았다. 취재를 위해서였다. 영양이 고향인 한 살 많은 선배가 자신의 단골 식당으로 나를 이끌었다. 10년 전과 마찬가지로 산채가 맛있다는 밥집 가운데 하나였다.


세월이 흘러서였을까? 나이를 더 먹어서였을까? 그날 맛본 곰취와 방풍나물, 씀바귀와 당귀는 향이 좋았고 식감 또한 독특했다. 막걸리 한잔을 곁들여 점심을 달게 먹고 이런 혼잣말을 했다.
‘육식주의자를 자처한 내가 지천명을 넘어 이순에 가까워지니 산채를 안주로 박주 마시는 즐거움을 알게 됐구나. 역시 사람의 생은 앞날을 예측할 수 없는 것이구나.’


[필자 소개] 홍성식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중·고교 시절. 영어 단어와 수학 공식을 외우라는 교사의 권유를 거부하고, 김지하와 이성부의 시를 읽으며 ‘미성년자 관람 불가’ 영화를 보러 극장에 드나들었다. 그 기질이 지금도 여전해 아직도 스스로를 ‘보편에 저항하는 인간’으로 착각하며 산다. 노동일보와 오마이뉴스를 거쳐 현재는 경북매일에서 일하고 있다.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영남 음식] 전체 목록 보기

홍성식 경북매일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