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장관 "TBS 정상화 방안 마련"... TBS 노사 "환영"

[행안위 국정감사]
정부 책임자 '정상화' 첫 언급
노사 "출연기관 해제 전면 재검토를"

  • 페이스북
  • 트위치

“TBS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발언에 TBS 노사가 일제히 환영 입장을 냈다. 정부 차원에서 ‘TBS 정상화’ 필요성을 언급한 만큼, 빠르게 후속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정안전부 등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뉴시스

윤호중 장관은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난해 9월 행안부가 주무 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 없이 TBS의 서울시 출자·출연기관 지정 해제를 결정하는 등 TBS를 폐국 위기로 내몬 책임이 있다는 지적을 받고 “TBS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TBS 문제 해결 의지를 정부 책임자가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TBS는 15일 보도자료를 내고 윤 장관 발언을 “환영”하며 동시에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추가 입장 표명과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후속 조치 계획 등”을 촉구했다.

TBS는 “행안부가 고시한 출연기관 지정 해제가 철회될 경우, 즉각적인 재정 및 제도적 보완책이 동시에 마련돼야 한다”면서 “인건비를 비롯한 기본 운영비를 충당할 수 있는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대책이 출연기관 지정 해제 철회의 필수 전제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TBS 구성원들은 서울시의 출연금 지원이 지난해 6월부로 끊긴 뒤 그해 9월부터 1년 넘게 무급으로 버티고 있다. TBS는 “윤호중 장관의 TBS 정상화 발언이 현실이 되려면 신속하게 올해 안에 예산 반영이 가능한 구체적인 실행안 마련을 위해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서울시 등과 긴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 마포구 TBS. /TBS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윤 장관의 발언을 “시민사회와 언론노동자들의 지속적인 투쟁이 만들어낸 성과이며, 공영방송 복원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말만으로는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며 출연기관 해제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출연기관 해제 과정의 위법성 확인 시 즉각 해제 결정 취소 △임금 체불 사태 해결 및 방송 기능 회복 위한 재정 대책 마련 △공영방송 복원 로드맵 제시와 방미통위·서울시·정부 참여의 제도적 복원 논의 시작 등을 요구했다.

TBS지부는 “이상민의 행안부와 윤호중의 행안부는 달라야 한다. 이제는 파괴가 아닌 복원을, 침묵이 아닌 책임을, 회피가 아닌 실천을 보여줄 때”라며 “현 정부가 진정으로 민주주의와 언론의 독립을 존중한다면, 지금이야말로 그 의지를 행동으로 증명해야 할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