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세력이 뉴스의 찬성 또는 반대 댓글을 맨 위로 올리는 여론몰이를 하는 ‘좌표 찍기’ 등을 막기 위해 네이버가 뉴스 댓글 서비스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
1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네이버로부터 제출받은 ‘뉴스 댓글 서비스 개선안’에 따르면 네이버는 정치 분야 기사에 대해 댓글 영역을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용자가 ‘전체 댓글 보기’ 또는 ‘언론사 댓글로 이동’을 선택해야 댓글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악성 댓글 지수’를 도입, 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댓글 목록을 비활성화 하거나 댓글 정렬 방식을 공감수가 아닌 최신순으로 제한 노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 밝혔다.
네이버 관계자는 “의원실에 향후 방향성이나 개선안을 전했고 검토 중”이라며 “도입 여부나 시점 등 구체적인 사항은 아직 미정”이라고 했다.
네이버는 앞서 9월 공감·비공감 트래픽이 일정 기준을 넘을 경우 하단 댓글을 자동으로 비활성화 하는 기능을 도입한 바 있다. ‘댓글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활성화되지만 이 경우 댓글은 최신순으로만 노출된다. 6·3 대선을 앞둔 4월엔 댓글 조작 세력의 인위적 여론조작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이용자 급증 감지 기능’을 도입하고 최근까지 60여건 이상을 탐지하기도 했다.
트래픽 감소가 자명한 댓글 관련 조치를 네이버가 잇따라 검토하고 실행해 온 배경은 이 같은 ‘좌표 찍기’가 공론장에 끼치는 해악이 크고, 네이버에도 리스크가 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지난 대선 기간에도 보수 성향 역사 교육 단체인 ‘리박스쿨’이 팀을 운영해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조직적 댓글 조작을 벌였다는 의혹이 나온 바 있다. 2018년 드루킹 여론 조작 사건, 2020년 연예·스포츠 뉴스 악플 등 관련 논란이 일 때마다 네이버는 비판의 대상으로 입길에 오르거나 사회적, 정치적 부담을 크게 안아 왔고 이에 시스템 개선, 댓글창 폐쇄 조치 등을 취해왔다.
양 의원은 “탄핵과 대선 과정에서 드러난 신남성연대·리박스쿨 등의 댓글 조작 세력은 명백히 민주주의를 교란한 범죄세력”이라며 “국민여론이 특정 세력의 ‘좌표 찍기’에 휘둘리는 현실을 방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네이버는 국가의 대표 포털로서 건전한 여론 형성과 민주주의 수호에 걸맞은 책임과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