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데일리 "폐간설 사실 아냐… 내부 논의 무단유출"

인신협 제명 결정 후 '대표 명의 폐간추진 보도'
홈피 공지로 "내부 논의 잘못 호도… 깊은 유감"

  • 페이스북
  • 트위치
서울 중구 스카이데일리 사무실. /한국기자협회

스카이데일리가 최근 보도된 폐간설을 부인하고 나섰다. 스카이데일리는 최근 홈페이지에 알림창을 띄워 폐간설이 사실무근이라고 밝히며, 이번 일을 계기로 내부 혁신을 더 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9월30일 민경두 스카이데일리 대표가 내부 공지로 올린 듯한 글이 ‘받은글’ 형태로 전파됐다. 이를 근거로 스카이데일리가 ‘5·18 북한군 개입설’과 ‘중국 간첩단’ 등 허위보도 이후 비판 여론과 경영상의 압박을 못 견디고 법인 청산절차를 밟기로 했다는 보도가 쏟아졌다.

이들 기사에서 민 대표는 “여전히 압살에 가까울 정도의 거센 비난과 비판 여론이 들끓어 매출이 수직으로 하락해 왔다”면서 “법인 청산절차를 밟고자 하며 사업 중단은 큰 비용이 투자되는 신문부터 시작하고 인터넷 중단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스카이데일리는 이틀 만에 일부 언론매체를 통해 폐간설을 부인했고,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서도 폐간설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알렸다. 매체는 해당 공지에서 폐간설에 대해 “스카이데일리 내 일부 극우세력과의 완전한 결별을 위한 내부 논의 과정에서 제기된 내용 중 하나로, 마치 회사 공식 입장인 것처럼 유출되며 호도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회사 내부 논의 내용이 무단으로 외부에 유출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바, 더욱더 스카이데일리 내부 혁신을 가속화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극우세력과의 철저한 결별”과 “책임 있는 언론 활동을 통해 신뢰받는 정론지로 다시 태어나겠다”는 약속을 다시금 전했다.

폐간설 관련 스카이데일리 홈페이지 공지.

폐간설은 부인했지만, 스카이데일리가 처한 각종 난처한 상황은 여전히 남는다. 이 매체는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이 부정선거에 개입한 중국 간첩단 99명을 검거해 주일미군기지로 압송했다는 보도 등으로 한국신문윤리위원회로부터 무더기 중징계를 받았고, 9월22일엔 한국인터넷신문협회에서 제명됐다. 5월16일 5·18 북한군 개입설에 대해, 8월14일엔 간첩단 보도에 대해 ‘자성의 팩트체크’와 함께 1면 사과문 게재로 여론을 돌려보려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주요 매출원 중 하나인 정부 광고도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월28일 계엄 후인 지난 1~8월에도 스카이데일리에 1억7100만원 상당의 정부광고가 집행됐다며 “언론중재위원회,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등에서 가짜뉴스로 인한 오보 판정 및 주의·경고를 받은 매체에 대해서는 정부 광고를 제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문화체육관광부가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짜뉴스 퇴출’을 목표로 하는 민주당 언론개혁특별위원회에서도 스카이데일리 사례를 주요 명분으로 들고 있어 향후 입법 과정은 물론 13일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도 정부 광고 문제는 계속해서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스카이데일리가 불과 7개월 만에 자사 보도를 “어불성설”이라 부정하며 “극우세력과의 결별을 위한 사투를 벌이”는 상황과 무관하게 당시 보도를 주도했던 전직 대표와 기자 등은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 5·18 북한군 개입설과 중국 간첩단 체포 보도의 주역인 허겸 기자는 회사를 떠나 한미일보를 창간, 발행인이 됐고, 조정진 전 대표도 트루스데일리란 매체를 창간하고 대표기자 겸 편집인으로 칼럼을 쓰고 있다. 한미일보의 유튜브 채널은 개설 두 달여 만에 구독자 6만여명을 모았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