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부부의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두고 추석연휴 여야가 공방을 이어온 가운데 상당 언론에서 “볼썽사나운 정쟁”이라며 “민생경제를 위한 건설적 논의”를 해야한다는 주문을 내놓고 있다. 추석 여론을 잡기 위한 의도로 보이는 여야의 충돌이 소모적이고, 국민이 납득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국일보는 10일자 사설 <‘여야의 대통령 추석 예능 출연 공방, 낯 뜨겁다’>에서 “여야가 이재명 대통령 부부의 예능 프로그램 ‘냉장고를 부탁해’ 출연을 두고 소모적 공방을 9일까지 이어가고 있다”며 “감정적 대응이 앞선, 말 그대로 ‘애들 싸움’ 같은 소모적 정치 공세다. 지켜보는 국민만 낯 뜨겁다”고 질타했다.
한국일보는 “대통령의 일정, 위기 대응 및 소통 방식 등은 공적 영역으로 정치적 비판 대상이 되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야당이 이 대통령 부부의 예능 출연을 ‘잃어버린 48시간’이라며 ‘세월호 참사’ 당시 논란이 됐던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잃어버린 7시간’에 빗대 공격한 것은 지나치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정자원(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 시스템이 마비된 것은 국가적인 대형사고이지만, 이를 수백 명의 생명이 희생된 국가적 비극인 세월호 참사와 연결시키는 게” 적절치 못하고 국가적 트라우마를 정쟁 소재로 끌어들이는 것이 “문제제기의 진정성만 의심”하게 할 뿐이라 덧붙였다.
앞서 이 대통령 부부가 출연한 JTBC ‘냉장고를 부탁해’가 6일 저녁 특집 프로그램으로 방영됐다. 해당 예능은 유명 요리사들이 출연자의 평소 냉장고 속 재료로 요리대결을 펼치는 프로그램으로 이 대통령 출연분은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다만 3일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국정자원 화재로 피해가 속출할 때 대통령은 2일간 회의 주재도 없이 침묵했다. 잃어버린 48시간”이라며 재난 수습에 집중해야 할 시기 대통령이 예능 녹화를 했다는 의혹제기가 앞서 나왔다. 여권에선 ‘K-푸드 홍보’ 목적에 부합한다는 입장으로 맞서며 대통령의 예능 출연은 연휴 내내 이슈가 됐다.
이 기간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이 9월26일 밤 귀국 직후 대통령이 화재 보고를 받고 28일 오전 10시50분과 오후 5시30분 관련 회의 주재 등 상황을 챙겼다고 반박하며 주 의원에 대한 법적 조처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하루 뒤인 4일에야 촬영 일자가 화재 이후인 9월28일이라고 밝혔다. 6일 주 의원이 강 대변인과 박 대변인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하고, 7일 민주당이 이 대통령 예능 출연 비판글(5일)을 올린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를 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하며 상호 고발전이 이어졌다. 10일 현재까지 여야의 공방은 이어지는 상태다.
한국일보는 야당 뿐 아니라 대통령실과 여당 책임에 대해서도 “작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는 “대통령실은 야당의 문제제기 직후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방송녹화 사실 자체를 부인하는 듯한 입장을 내놨다. 이튿날 야당 요구대로 지난달 26일 국정자원 화재 발생 이후 이 대통령 일정을 공개했지만, ‘거짓 해명’ 논란만 키웠다”며 “야당 비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관련 사실을 밝혔으면 될 일을 긁어 부스럼으로 만들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한국일보는 “K문화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어느 때보다 큰 지금, 우리 음식 문화를 알리는 일은 민생과 경제를 위해서도 필요하다”며 “정치권은 이를 정쟁 소재로 삼을 게 아니라 민생경제를 위한 건설적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을 일”이라고 강조했다.
세계일보도 10일자 사설 ‘추석 연휴에도 볼썽사나운 정쟁 이어간 여야’를 통해 정치권의 행보를 비판했다. 국민일보는 “정치권은 추석 연휴 전 여당의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 쟁점 법안 밀어붙이기와 야당의 필리버스터로 충돌하더니, 연휴 기간에도 이재명 대통령의 예능 프로그램 출연과 경찰의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 체포 문제 등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고 했다.
특히 예능 출연과 관련해 세계일보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 와중에 대통령이 예능 프로그램을 녹화한 것은 시점이 부적절했다. 지적하고 넘어가면 될 일이다. 그런데 국민의힘은 이 대통령의 예능 방송 출연이 국가적 재난에 무관심한 사례라면서 추석 민심을 잡기 위한 정쟁 소재로 키웠다”며 “결국 여야가 상대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고발하는 사태로 발전했다. 갈등을 조정해야 할 정치가 시정잡배나 다름없는 방식으로 싸우니 개탄스럽다”고 꼬집었다.
부산과 대구의 지역 일간지에서도 비슷한 논지, 제언을 담은 사설이 나왔다. 부산일보는 10일자 사설 ‘정쟁으로 추석 연휴 보낸 정치권, 민생 절규에는 귀 닫아’를 통해 “여야는 연휴 동안 추석 당일 방송된 이 대통령 부부의 ‘냉장고를 부탁해’ 출연과 관련한 진흙탕 싸움에 몰두했다”며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은 모처럼의 연휴에 휴식은커녕 정치권이 유발한 스트레스에 시달려야만 했다. 이 사안이 이렇게까지 공방을 벌일 일인지 기가 찰 노릇”이라고 질타했다.
영남일보는 9일자 사설에서 “대통령의 출연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재명 정권 집권 이후 당면한 난제들을 고려하면 적절한 행보가 아니라는 비판도 새겨들어야 한다”며 “민주당 정권의 논리를 그대로 차용하면 ‘내란 사태가 종식되지 않고, 미국의 관세 압박이 거세며, 민생이 어려운 시기’에 취임 5개월차의 대통령이 한가하게 적지 않은 녹화시간을 할애하며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다면 그건 앞뒤가 어울리지 않는 장면이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역대 대통령이 예능 프로그램 등에 출연할 때마다 정치적 국면이나 당시 상황과 맞물려 논란은 반복돼왔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3년 MBC 예능 ‘느낌표’, 2005년 KBS ‘도전!골든벨’에 출연했다. 2008년엔 이명박 전 대통령이 KBS ‘아침마당’ 추석 특집 편에, 2013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SBS ‘심장이 뛴다’에 출연한 바 있다. 당시엔 방송 출연을 두고 이미지 정치란 지적과 더불어 자기 홍보, 국정 홍보에 방송을 동원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특히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tvN 예능 ‘유퀴즈 온 더 블록’에 나왔는데 대통령실이 무리한 추진을 했다며 외압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TV조선은 8일 '뉴스9'의 ‘[정치 더] 대통령의 시간’ 보도에서 이 같은 여야 공방의 배경에 대해 “이른바 ‘추석 여론’을 잡기 위해서”라고 진단했다. TV조선은 “추석 때는 가족들이 다 모이고 정치적 여론이 형성된다. (중략) 야당이 대통령 예능 출연에 선공을 날린 거다. 국가 재난 관리보다 예능 홍보가 더 중요하냐고 공격한 거다. 그러자 대통령실은 ‘K푸드 홍보를 위한 출연이었다’ 즉 국정의 일환이었다고 반격했다”며 “그런데 일반 국민들은 이게 서로 고소·고발까지 하면서 사생결단으로 싸울 일인지 의문스럽다는 반응이 많다”고 했다.
TV조선은 그러면서 “야당은 이번에 대통령 예능 이슈를 추석 밥상에 올리는 데는 성공했다. 하지만 반대로 대통령의 예능 시청률이 올라가는 홍보 효과도 있었다. 어느 한 쪽의 일방적 승리는 아닌 듯하다”고 부연했다.
조선일보는 9일자 칼럼 ‘[만물상] 대통령의 예능 출연’에서 클린턴,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과 국내 현직 대통령의 예능 출연 사례를 언급, “이 대통령은 예능 출연의 효과를 누린 대표적 정치인이다. 성남시장이던 2017년 ‘동상이몽’에 11회 고정 멤버로 출연하며 인지도를 높였고, 2021년 대선 전엔 ‘집사부일체’에 출연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예능 출연이 좋은 효과만 내는 것은 아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대선 후보이던 2021년 예능에서 ‘계란말이를 해주는 남편’이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심었다. 그러나 당선인 신분으로 나온 ‘유퀴즈 온 더 블록’과 취임 첫 해 출연한 ‘TV동물농장’에선 ‘예능까지 정치에 이용하느냐’는 반발도 적지 않았다”며 “국정에서 좋은 성과를 내야 예능 출연도 빛날 수 있다”는 뜻을 전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