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광고, '광고 신뢰', '구매 의향' 등서 유튜브 앞질러
코바코, 최근 '2025년 매체이용행태 조사' 결과 발표
TV 광고, 광고효과 핵심지표서 유튜브, SNS 모두 제쳐
TV 광고가 ‘광고 기억’, ‘광고 신뢰’, ‘구매 의향’, ‘검색 의향’ 등 광고효과 핵심 지표에서 7개 광고매체 중 1위를 차지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가 최근 발표한 ‘2025년 매체이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TV 광고는 핵심 지표들에서 유튜브 광고, SNS 광고 등을 모두 제쳤다.
구체적으로 ‘광고가 기억에 난다’는 문항에선 44.2%의 응답을 얻어 유튜브 광고(34.7%), SNS 광고(27.1%), 인터넷 검색/배너광고(26.1%) 등에 상당 폭 앞섰고, ‘광고가 믿을 만하다’ 문항에서도 22.5%의 응답을 얻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광고를 보고 관련 제품을 구매하고 싶었던 경험이 있다(41.7%)’, ‘광고를 보고 관련 제품을 검색해보고 싶었던 경험이 있다(45.4%)’ 문항에선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여 실질적인 소비자 행동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광고 매체임을 입증했다.
또 ‘신뢰감(59.6%)’, ‘품격(58.1%)’, ‘공정(54.7%)’ 등 긍정적 이미지에선 높은 수치를, ‘자극성(10.7%)’, ‘선정성(7.7%)’, ‘가짜 뉴스(8.5%)’ 등 부정적 이미지에선 낮은 수치를 기록해 믿을 만한 광고 매체임이 드러났다.
반면 신문 광고는 ‘광고 기억(16.3%)’, ‘구매 의향(17.9%)’, ‘검색 의향(18.4%)’ 등 핵심 지표에서 모두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신뢰감(23.3%)’, ‘품격(21.1%)’ 등 긍정적 이미지에선 TV 광고에 이은 2위를 차지했지만 소비자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기엔 다소 아쉬운 결과가 나왔다.
유튜브 광고의 경우 ‘광고 기억(34.7%)’, ‘구매 의향(36.4%)’, ‘검색 의향(40.0%)’ 등에선 모두 TV 광고에 이은 2위를 차지했지만, ‘자극성(64.1%)’, ‘선정성(58.7%)’, ‘가짜 뉴스(63.7%)’ 등 부정적 이미지에선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해 광고 효과는 크지만 신뢰성은 다소 낮은 매체임이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 만 20~64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7월18일부터 8월11일까지 온라인 패널을 이용한 웹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95% 신뢰수준에 오차 범위는 ±1.8%p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