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중위, 주간경향 '김어준 팬덤권력' 민주당 정정보도 신청 기각

신청인의 주장 이유 없으면 기각 가능

  • 페이스북
  • 트위치

언론중재위원회가 김어준의 팬덤 권력을 분석한 주간경향 기사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회의 조정신청을 기각했다.

앞서 민주당 국민소통위는 12일 민주파출소 주간브리핑을 통해 주간경향의 <“김어준 생각이 민주당 교리”... 정당 기능마저 넘긴 집권당> 기사에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주간경향은 8일자 관련 기사를 통해 김어준씨가 민주당의 상수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며 그의 영향력이 전당대회와 당내 경선 구도에까지 작용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방송인 김어준씨가 지난해 12월13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제419회 국회(임시회) 제1차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 비상계엄 관련 현안질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민주당은 이에 반발해 언중위에 관련 보도를 제소했고, 언중위는 중재부를 열어 논의한 결과 민주당의 조정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내렸다. 언중위는 신청인의 주장이 이유 없다는 것이 명백할 경우 조정신청을 기각할 수 있다.

주간경향 기사가 나온 이후 유튜브 권력에 대한 언론의 비판은 커지고 있다. 강지원 한국일보 문화부장은 24일 칼럼을 통해 “곪을 대로 곪은 문제가 이제야 터졌다”며 “유튜브 권력을 견제해야 할 의원들은 도리어 유튜브 권력에 편승했다. 이들은 유튜브 권력이 제기한 조희대 대법원장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의 대선 개입 오찬 회동 의혹을 검증 없이 국회로 끌고 와 재차 불을 지폈다”고 비판했다.

김준일 시사평론가도 23일 한겨레신문 칼럼을 통해 “‘김어준 논란’의 요체는 음모론, 권력화, 그리고 팬덤정치”라며 “당심을 ‘딴지 게시판’에서 읽는다고 했다는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당선 과정을 지켜본 정치인들은 앞으로도 김어준에게 달려갈 것이다. 리스크는 매우 크며 음모론을 끊임없이 던지는 김어준은 민주당 정권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 내부서도 유튜브 권력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곽상언 민주당 의원은 17일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유튜브 권력도 사회 구성원으로서 당연히 정치적 견해를 표현할 수 있고 표현해야 마땅하다”며 “하지만 유튜브 권력이 정당의 공천과 선거운동에 개입하는 등 선거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면 사정이 전혀 다르다. 이 정도가 되면 유튜브 권력은 이미 사회적·정치적 해악이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비슷한 시기 한겨레에 정정보도를 신청했던 최민희 민주당 의원은 최근 이를 반론보도 청구로 변경했다. 앞서 한겨레는 3일 <‘방통위 개편’ 입법, 속도 매몰돼 내실 놓치나> 기사를 통해 방송통신위원회 개편에 대한 전문가 우려를 담았는데, 최 의원은 이 보도로 인해 정당한 입법 활동에 왜곡과 명예훼손이 발생했다며 언중위에 정정보도를 신청했다. 중재부는 이 조정신청을 접수했으며 기일이 한 차례 연기돼 11월 중 조정심리가 열릴 예정이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