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측 '친 유진그룹 사추위' 고수… 노조 거센 반발

정치권 'YTN 공적 소유구조' 논의

  • 페이스북
  • 트위치

YTN 사장추천위원회 구성 교섭이 본격화된 후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가 5차 파업을 실행하는 등 내부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정치권에선 윤석열 정권 당시 YTN 민영화, 유진그룹으로의 최다액 출자자 변경이 방송장악의 일환이란 시선에서 YTN의 공적 소유구조 복원, 향후 방송통신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 공동 주관한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언론정상화 토론회’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렸다. /YTN지부 제공

22일 현재 쟁의 124일째인 YTN지부는 앞서 18~21일 나흘간 ‘5차 파업’을 진행했다. 19일 3차 사추위 교섭에서 사측은 최대주주 유진그룹 관계자가 상당수를 차지한 사외이사 6명, 노조 3명(YTN지부 2명, YTN 방송노동조합 1명), 시청자위원 1명의 변경된 구성안을 제시했다. 앞서 대주주 추천 4명(유진그룹 3명 추천), 노조 추천 1명, 시청자위원 1명으로 제시한 안에 “대주주가 사추위를 완전히 장악”한다는 비판이 나왔고, 노조는 이후 파업에 돌입했지만 전향적 안은 나오지 않은 것이다.


시민평가단 도입 등 노측 제안 대부분은 거부됐고, 정책설명회·면접 비공개 방침이 사내 공개로만 바뀌었다. 앞서 사측은 김백 사장 사퇴로 인한 사내이사직에 정재훈 사업본부장을 내정하고, 새 대표이사 직무대행을 맡긴다고 밝혔다. YTN지부는 18~19일 기자회견과 결의대회를 잇따라 열고 “YTN 최대주주 유진그룹이 방송의 자유와 독립성을 강화하는 취지로 개정된 방송법을 무시한 채 입맛대로 사장을 꽂으려 시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별개로 YTN은 25일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선임을 예정했고, YTN지부와 우리사주조합원들은 이날 피케팅과 발언, 기자회견 등을 계획한 상태다.


윤석열 정부 2인 체제 방통위에서 이뤄진 민영화 과정 전반을 두고 의혹이 이어져 온 상황에서 22일 국회에선 ‘YTN의 공적 소유구조 복원과 정상화 해법’ 토론회가 진행되기도 했다. 유진그룹 최다액 출자자 자격 박탈 방안과 근거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전준형 YTN 지부장은 이날 “MBC와 방송문화진흥회의 관계를 참고, 공기업이 독립적인 비영리재단을 설립해 YTN 지분을 출자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날 국회 여러 상임위에서 YTN 관련 사안을 살피고 국정조사를 할 것이라 공언한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언론개혁특위 부위원장)은 “이 사안 시작과 끝에 방통위가 있다. 감사원 특별감사를 비롯해 할 일이 굉장히 많다”며 “방통위가 3개월도 안 된 시간에 YTN을 팔아넘긴 건 초유의 일인데 빠른 시간 내 바로잡는 것도 할 수 있다. 방통위가 잘 해야 한다”고 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