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전문채널에 사장추천위원회(사추위)를 의무화하는 방송법이 8월26일 시행되면서 연합뉴스TV 노사가 사추위 구성에 머리를 맞댔다. 반면 YTN 노사는 사추위 구성을 위한 대화 테이블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새 방송법은 보도전문채널 대표자와 보도 책임자에 대해 법 시행 후 3개월 이내에 개정 규정에 따라 새로 임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교섭대표 노조와 협의를 거쳐 사추위를 운영하고 사추위 인원, 구성방식, 후보자 추천 기한 등을 정관에 기재하도록 의무화했다. YTN 사장 자리는 김백 사장이 지난 7월 말 사임해 직무대행 체제이고, 연합뉴스TV 안수훈 사장은 지난해 10월 취임해 2년 임기를 남겨두고 있다.
연합뉴스TV 노사는 8월28일 사추위 구성을 위한 1차 실무회의를 가졌다. 노조는 사측에 ‘국민참여 사추위 규정안’을 제안했다. 최대 10명으로 구성하고 추천 단체는 이사회(2명), 언론·방송 분야에서 활동하는 외부전문가(3명), 국민(3명), 노조(2명) 등이다.
정현욱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TV지부장은 “방송법의 핵심은 정치권력과 자본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방송사 지배구조를 개선해 국민의 눈과 귀가 되는 방송을 만들자는 사회적 합의의 산물”이라며 “연합뉴스TV 대표자를 국민의 손으로, 우리 손으로 직접 뽑는 선례를 만들기 위해 이번 안을 냈다”고 말했다.
사측은 노조가 제안한 사추위 구성안에 대해 법률검토와 주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사측 관계자는 “주주 권한을 대변하는 사외 이사들이 조만간 간담회를 열어 사추위 구성 등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라며 “그 이후에나 회사의 방향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2011년 개국 이후 연합뉴스 사장이 겸임한 연합뉴스TV 사장은 지난해 10월 첫 단독 사장이 선임되며 변화를 맞았지만, 사추위는 한 차례도 구성되지 않았다.
YTN의 경우 사추위 구성 논의가 사실상 지지부진하다. 노조는 3개월 넘게 쟁의 행위를 하고 있고, 사측은 오는 25일 이사 선임을 위한 주주총회를 앞두고 있다. 노조는 사측이 두 차례 노조에 사추위 논의를 제안했지만 꼼수라고 주장한다.
언론노조 YTN지부 관계자는 “8월29일 노사 임단협 교섭에서 사측이 사추위 테이블을 꾸려 논의를 시작하자고 구두로 전해왔다”면서 “쟁의가 끝나려면 사추위 구성이나 단협 준수 의지를 밝히는 차원에서 보도국장 임면동의제라도 시행해야 하는데 그런 움직임은 없다. 뚜렷하게 일정을 잡거나 구체적으로 무얼하자는 얘기가 없다”고 했다. YTN 사측 관계자는 “노사 실무협의 구성을 논의중”이라고 했다.
YTN은 노사 단체협약에 사추위 제도를 두고 있었다. 7명의 위원이 사추위를 구성해 사장 후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고 후보 2~3명을 추린 뒤 이사회와 주주총회에서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지난해 3월 YTN 유진그룹이 대주주로 오면서 폐지됐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