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브리핑 왜곡시 법적책임"... 후속조치 효과 있을까
'쌍방향 브리핑' 2개월, '기자 조롱·공격' 계속되자
대통령실 "KTV에 자막 고지"... 한 달만에 후속조치
대통령실 브리핑이 생중계되면서 질문하는 기자에 대한 표적 공격 논란이 계속되고 급기야 기자가 대변인을 고소하는 일까지 벌어지자, 대통령실에서 거듭 자제를 촉구하며 후속 조치를 내놨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24일 브리핑을 통해 “발표자와 기자의 질의 내용을 과도하게 왜곡, 조롱하는 일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이에 대통령실은 시행 한 달쯤 자제를 촉구한 데 이어 오늘 후속 조치로 자제하는 자막을 KTV에 모두 넣기로 했다”고 밝혔다.
자막 내용은 “브리핑 영상을 자의적으로 편집, 왜곡하여 유포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로, 이 수석은 “민간 방송사 분들도 이런 후속 조치에 동참해 주셨으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앞서 ‘쌍방향 브리핑’ 생중계 한 달여 만인 7월22일 질문하는 기자들에 대한 과도한 비방 등 부작용을 언급하며 “관련 영상을 재가공해 유포할 때 명예훼손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는데, 이번엔 아예 ‘법적 책임’에 관한 문구를 영상 자막에 포함하기로 한 것이다.
이 수석은 이날 이재명 정부 들어 하루 2.2회, 지난 정부 평균의 2배가량 브리핑을 했고, 특히 쌍방향 브리핑을 통해 질의응답이 공개되면서 “익명 취재원이 실명 취재원으로 전환”되고 “정책 홍보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한국기자협회 창립 61주년 기념 기자 여론조사를 언급하며 “49.2대 30.1로 긍정적인 견해가 훨씬 많았다”고도 덧붙였다.
그러나 브리핑 생중계 도입 전부터 제기된 우려는 빠르게 현실로 나타났다. 기자협회보는 쌍방향 브리핑 시행 보름 전인 6월9일 <대통령실, 기자단 중계… 공격 악용·신뢰 회복 ‘양날의 검’> 제하의 기사에서 “기자회견 중 대변인이 질문이 부적절하다며 면박을 주거나 무시한다면 지지자들에게 공격하라는 신호로 읽힌다”고 지적한 바 있다.
실제 기자의 질문에 대변인이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가 지지자 등 온라인 반응에 영향을 미쳤다. 기자의 질문에 대한 강유정 대변인의 반응에 주목한 숏폼 영상 등이 ‘기자 참교육’ 등의 자막을 달고 유튜브에서 수십,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댓글은 기자에 대한 비난·비판으로 도배되다시피 했고, 기자 개인 SNS에도 악성 댓글이 줄줄이 달렸다.
6월27일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비공개 일정에 대해 질문했다가 이후 엄청난 비난과 공격에 시달린 OBS 기자는 급기야 잘못은 대변인에게 있다며 최근 강 대변인을 고소했다.
언론단체들은 이런 상황이 누구에게도, 무엇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자제를 요청해 왔다. 한국기자협회와 방송기자연합회는 6월23일 공동 성명을 내어 “지금처럼 기자 개인을 표적으로 삼고 조롱하며, 성희롱을 가하는 온라인 공격이 계속된다면, 기자의 인권과 취재 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대통령실 차원에서 기술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고,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도 7월17일 “언론의 발전을 위해 날카로운 비판을 계속해 주시되, 인신공격은 자제해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시민들에 호소한 바 있다. 대통령실이 한 달 만에 다시 꺼내든 후속 조치가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한편, 이규연 수석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의 두 번째 기자회견 개최 준비도 알렸다. 이 수석은 이 대통령의 취임 30일 기자회견이 역대 정부에서 가장 빨랐다면서 “두 번째 기자회견 역시 가장 빠르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청와대로 이전하면 라이브 스튜디오 환경을 구축하겠다. 정책 관계자가 더 자주, 더 깊게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