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기자상] 오광수 민정수석, 차명으로 부동산 관리

[제418회 이달의 기자상] 이효상 경향신문 기자 / 취재보도1부문

이효상 경향신문 기자.

“친여 성향 매체들을 중심으로 오 전 수석에 대한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자 결국 ‘자진 사퇴’로 선회.”


오광수 전 민정수석이 차명 부동산 의혹으로 낙마하자 한 언론은 이를 여권 내 권력투쟁의 결과로 해석했습니다. 여권 인사가 경향신문에 제보해 차명 부동산 의혹이 제기됐다고 보는 듯했습니다. 온라인 기사에는 “누가 봐도 검찰에서 흘린 듯”, “검찰이 캐비닛 열었네” 같은 댓글이 달렸습니다.


둘 다 아닙니다. 이 기사는 제보자가 없습니다. 핵심 고위공직자들이 임명되는 정부 출범 초기에는 으레 그렇듯이 인사검증을 해야 하기에 취재를 시작했을 뿐입니다. 판결문 검색으로 과거 송사가 있었던 사실을 알게 됐고, 관련자들을 취재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이 전부입니다. 때마다 ‘캘린더 기사’를 쓰듯이 그 시기에 독자들에게 알려야 할 기삿거리를 찾았을 뿐입니다.


인사검증 취재를 많이 하진 않았지만, 할 때마다 마음이 불편하고 약간은 두렵습니다. 사람이 대가 약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공직을 수행하기에 부적절한 흠결의 기준은 무엇인지, 기사화해야 하는 수준의 의혹은 어떤 것인지 늘 생각하게 됩니다.


20대 대선을 앞둔 2021년에도 하던 대로 대선후보 검증을 했습니다. 그때 쓴 기사 중 하나가 ‘대검 중수부의 부산저축은행 부실 수사 의혹’입니다. 취재가 잘 됐다고 자부했고 언제나처럼 확인된 부분까지만 썼습니다. 그런데 그 대선후보가 대통령이 되고,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검찰 압수수색을 받았습니다. 검찰이 강제 수사까지 하면서 궁금해했던 것은 결국 ‘누구 얘기를 듣고 썼냐’, ‘무슨 의도로 썼냐’ 같은 것이었습니다.


압수수색 후 1년7개월 만에 검찰의 무혐의 처분을 받고 처음으로 쓴 기사가 이 차명 부동산 의혹 기사입니다. 여전히 누군가는 제보자와 의도를 궁금해합니다. 아닙니다. 이건 그냥 언론이 때 되면 해야 할 일일 뿐입니다. 불편한 마음으로 두려움을 느끼며 썼습니다.

이효상 경향신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