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경 주니어 기자들 "매출중심 운영, 취재력 갉아먹어" 성명

편집국장 투표 선출 및 중간 신임제 요구
신창훈 편집국장, 사직서 제출

  • 페이스북
  • 트위치

두 달 새 잇따른 기자들의 퇴사를 두고 헤럴드경제 주니어 기자들이 매출과 조회수 중심 편집국 운영, 취재 경쟁력 하락 등을 근원으로 지목하며 투표를 통한 편집국장 선출 및 중간 신임제를 요구하고 나섰다.

2020년 입사한 헤럴드경제 29기 기자들은 7월28일 <인력 유출이 아니라 헤럴드 탈출입니다>란 제목의 대자보를 게재했다. 기자들은 최근 두 달 새 27기 1명, 28기 2명, 29기 1명이 퇴사한 상황을 언급, “동료들이 떠난 이유는 5년 후 10년 후 이곳에서의 모습이 기대되지 않기 때문”이라며 “뿌리 깊은 무기력, 허리 연차의 이탈, 주니어 기자의 각자도생이 악순환하는 헤럴드경제에서 ‘탈출은 지능순’이 됐다”고 성명에 적었다.

헤럴드경제 사이트.

6년차 기자들은 “우리 기사는 경쟁력이 없다”고 밝혔다. “굵직한 단독, 눈여겨볼 기획, 챙겨볼 만한 기사”가 없고 타사 기자에겐 “적당히 일하기 좋은 곳”으로, 출입처에선 긴장감을 못 주는 매체로 인식된다는 비판이다. 특히 2023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이달의 기자상’을 받거나 출품한 경제지 현황조사를 통해 “고작 5회 출품했다”, “언론계와 독자에게 가치를 인정받는 기사를 생산하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기자들은 “매출 중심의 운영이 취재력을 갉아먹었다”며 지난 3년 간 온갖 포럼이 생겨나 고연차 선배들은 포럼 기획, 표 매매에 매달리고 “압박은 주니어 기자들에게까지 전가되고 있다”고 했다. 또한 “단독성 기사를 써도 ‘출입처와의 관계’ 때문에 나가지 못하거나 대폭 수정되는 경우도 다수였다”고 토로했다. “국장과 데스크는 녹슬어가는 취재력은 애써 외면한 채 조회 수에만 전전긍긍”하면서 헤럴드경제가 “전화 한 통 없이 쓴 기사에 포상하는 회사로 전락했다”고 기자들은 목소리를 높였다.

편집국 수장인 편집국장의 “전략 수립과 선수(기자) 배치”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기자들은 “작금의 문제를 부서나 부장 탓으로 돌리지 마시길 바란다. 책임을 전가하고 리더로서의 평가를 피하는 구조 속에서 편집국은 무너졌다”며 “줄퇴사의 원인에 대한 진단없이 인력 충원과 인사로 문제를 덮으려 하지 말라”고 했다. 이에 따라 기자들은 △편집국장 후보자 추천 △후보자 공청회 △투표를 통한 편집국장 선출 △임기 중 신임 투표(연 1회) 도입을 제안했다.

7월28일 나온 헤럴드경제 29기 성명.

성명 발표 이틀 뒤인 7월30일 헤럴드경제에선 다수 기자가 참석한 가운데 기자총회가 개최됐다. 이날 총회에선 ‘편집국장 추천 및 신임투표 도입’에 대해선 구체적인 얘기가 나오지 않았지만 그간 누적된 문제를 두고 기자 간 대화가 이뤄졌다. 편집국장은 사직서를 제출한 상태다.

신창훈 헤럴드경제 편집국장은 1일 기자협회보와 통화에서 “(성명 내용이) 편집국 전체의 의견일 수는 없지만 전체를 책임을 지는 사람으로서 사직서를 제출한 상태다. 아직 수리는 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문제를 해결할 때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지 않으면 잘잘못을 두고 싸우게 되는데 이걸 기준점으로 세워두고 현안을 정리하자는 게 제 입장”이라고 했다. 이어 “5~6년차 때 저도 비슷한 고민을 했고 그 연차에서 충분히 할 수 있는 생각”이라며 “헤럴드경제는 만만한 조직이 아니고 자정능력이 충분해 잘 극복할 수 있으리라 본다”고 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