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예산안 합의...내년 공무원 9475명 늘려

[12월5일 신문 1면 사진으로 본 오늘]

  • 페이스북
  • 트위치

여야가 내년도 예산안 합의에 성공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자유한국당 정우택,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는 4일 오전 10시30분부터 약 6시간 동안 마라톤협상을 벌여 공무원 증원 문제 등 핵심 쟁점들을 일괄 타결했다. 5일 상당수 주요 일간지들은 이와 관련한 소식과 사진을 신문 1면에 게재했다.


한국일보, 한겨레신문, 국민일보는 2018년도 예산안 관련 잠정 합의를 마친 3당 원내대표와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합의문을 들어보인 모습을 1면에 담았다.


한국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한국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한국은 관련기사에서 “여야가 2018년도 예산안 법정처리 시한(2일)을 이틀 넘긴 4일 예산안 지각처리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한국은 “예산안 중 최대 쟁점이었던 공무원 증원·충원 규모는 애초 정부안(1만2221명)보다 2746명 줄어든 9475명을 늘리는 선에서 합의가 됐다”며 “그동안 민주당은 정부 원안 통과를 주장했으나 한국당이 7000명, 국민의당은 8870명 증원을 고수해 협의는 난항을 겪었다. 하지만 막판에 여야가 조금씩 물러나 절충안을 도출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신문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한겨레신문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한겨레는 관련기사에서 “초고소득자를 대상으로 한 소득세 인상안은 정부안(과표3억~5억원 40%, 5억원 초과 42%)을 유지하기로 했다. 법인세 인상의 경우 최고세율(25%)을 매기는 과세표준 구간을 ‘3천억원 이상’으로 합의해 ‘2천억원 이상’이었던 정부안보다 적용 대상 법인과 세수 효과가 줄어들게 됐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그러면서 “다만 이 합의문 가운데 공무원 증원과 법인세 관련 두 항목의 합의 내용에 대해 자유한국당은 ‘찬성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유보“라고 명시했다. 합의내용이 반영된 예산안이 본회의에 상정되면 민주당과 국민의당 만으로 통과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유한국당의 일부 유보 의견은 결국 예산안에 대한 ‘묵시적동의’라고 협상 참석자들은 전했다”고 게재했다.


국민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국민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국민은 관련기사에서 “신설된 아동수당과 25만원으로 인상한 기초연금의 지급 개시 시기가 내년 9월로 조정됐다. 정부가 계획했던 시점보다 각각 2개월, 5개월 늦춰졌다. 내년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야당의 지적을 여당이 받아들였다”며 “정치논리에 국민 복지 향상이 뒤로 밀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세계일보는 북 미사일 위협 속에서 진행된 역대 최대 규모의 한미 연합 공군훈련 모습을 1면에 담았다.


세계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세계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세계는 관련기사에서 “한반도와 주변에서 대규모 전력이 참가하는 군사훈련이 진행되면서 동북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고 게재했다. 세계는 “한미군은 4일 항공기 230여대를 투입해 사상 최대 규모의 연합공중훈련인 비질런트 에이스(Vigilant Ace)에 돌입했다”며 “일본 항공자위대도 이날 일본 주변 공역에서 주일 미군 스텔스 전투기 F-35와 공동훈련을 실시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중국 공군 선진커 대변인이 중국군 정찰기의 최근 정찰훈련 소식을 전한 데 대해 ”비질런트 에이스에 대한 대응훈련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중앙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중앙은 관련기사에서 “북한의 지난달 29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 발사 시험 이후 미국의 태도가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다”며 “미행정부와 의회에서 대북선제공격론과 전쟁 가능성을 거론하는 것은 북한 화성-15형이 보여준 기술 진전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중국 의존형 관광산업의 문제점을 조명한 기사의 관련사진으로 서울 중구 명동거리의 모습을 1면에 담았다.


동아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동아일보 5일자 1면사진 갈무리.


동아는 관련기사에서 “유커의 쇼핑에만 의존해 온 한국관광의 고질적 구조를 뜯어고치지 않으면 ‘한국관광엔 ’한국‘도 없고, 미래도 없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커진다”고 지적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