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단상…언론의 디지털화와 분산화

[언론 다시보기] 예병일 플루토미디어 대표

▲예병일 플루토미디어 대표

# 긴 추석 연휴가 시작될 즈음,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아시아와 유럽에서 종이신문 발행을 중단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유럽판은 9월 29일자 이후로, 아시아판은 10월 6일자 이후로, 종이 신문 발행을 중단한다는 공지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을 구독하던 유럽판이나 아시아판 고객들은 종이 신문은 볼 수 없고, 남은 기간의 구독료를 환불받거나 인터넷 기사만 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유럽이나 아시아의 주요 도시에서는 미국판 종이 신문을 구할 수는 있을 거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 마저도...”라는 상징성이 주는 의미는 컸다. 발행 중단 이유는 물론 인쇄매체 광고시장의 위축 때문이었다.

 

# 긴 추석 연휴 중 친척들과 만난 자리, 누군가가 이렇게 말했다. “요즘 KBS와 MBC가 파업중이라는데, 실감을 잘 못하겠어...방송들이 좀 많아야지. 다른 볼거리도 많고.”
다른 이가 받았다. “파업 때문인지 KBS나 MBC에서 좋은 외국 다큐멘터리 재방송이나 최신 영화를 틀어주니 난 오히려 나쁘지 않던데...”

 

과거, KBS나 MBC가 파업에 돌입하면 사회에 미치는 파장은 매우 컸다. 당장 저녁 9시 뉴스가 파행 운영되면 ‘전 국민’이 파업을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저녁 9시 뉴스 시청으로 하루를 정리하던 시절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대신 볼 방송 뉴스도 여러 개이고, 무엇보다 10~30대는 물론, 40~50대도 대부분 뉴스를 실시간으로 인터넷이나 모바일 디바이스로 본다.

▲뉴시스

# 월스트리트저널의 유럽판과 아시아판 종이 신문 발행 중단과 KBS·MBC 파업의 사회적 파급 감소. 별개로 보이는 이 두 가지 현상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언론 분야의 디지털화와 그에 따른 분산화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기존 수익 모델의 위축, 즉 광고 매출의 하락과 사회적 영향력의 감소다.

 

# 추석 연휴 전주, 조선일보가 ‘디지털통합TF’를 발족하고 새로운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방준오 부사장이 단장을 맡아 본격적인 디지털전략 수립에 나섰다. TF에는 디지털콘텐츠팀장에 경제부장 출신의 강경희 논설위원을 선임하는 등 에이스들을 투입했다. 조선일보는 일단 종이 신문의 콘텐츠 생산 조직을 유지하고, 대신 그동안 분산되어 있던 온라인 콘텐츠 생산 조직을 모아 통합하는 방법을 선택을 했다. 종이 신문 조직의 급격한 디지털화에 따를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적 전략으로 보인다.

 

그 전에 중앙일보는 올해 봄 온-오프라인간의 칸막이를 허무는 디지털 전략을 선언했다. 홍정도 사장이 ‘디지털 혁신 설명회’ 인사말에서 디지털 전환을 건너편의 땅을 밟기 위해 차가운 강을 건너는 ‘도강’으로 표현했을 만큼 전면적 변화의 방법을 택했다. 문제는 현장 기자들의 피로감 같은 부작용이다.

 

조선과 중앙의 ‘차이’가 관심을 끌고 있지만, 사실 그런 외양은 부차적인 문제이다. 속도의 차이일 뿐, 양사 모두 시행착오를 거쳐 비슷한 길에서 만날 것이다.

 

관건은 이미 펼쳐진 디지털-모바일 시대에 독자들과 어떻게 만나고, 그 접점에서 어떤 새로운 수익구조를 만들어낼 것인가의 문제이다. 기존의 인터넷 광고와는 다른, ‘새로운 키워드’와 결합한 수익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방향에 대해서는 다음번 칼럼에서 생각해보도록 하겠다.

 

# 긴 추석 연휴가 끝났다. 연휴 시작 무렵에는 “도대체 무얼 하면서 열흘을 지내지”라고 생각했지만, 어느새 지나갔다. 언론 분야의 디지털화, 분산화라는 트렌드도 비슷할 것이다. “어...” 하는 순간, 언론사들이 ‘웬만큼 지낼만했던 시절’은 끝날 것이다.

 

유례없이 긴 추석 명절이었다. 돌아보니 짧았다. 언론사들이 변화에 대처하고 혁신을 이루어내야 하는 시간도 그러할 것이다.

예병일 플루토미디어 대표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