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4일 한국기자협회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언론위원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서울중앙지검 및 서울중앙지법 옆에서 ‘주진우 구속영장 청구 규탄’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
언론계와 법조계, 학계, 시민단체 등이 일제히 검찰의 주진우 시사IN 기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비판하고 나섰다.
한국기자협회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언론위원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은 14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및 서울중앙지방법원 옆에서 ‘주진우 기자 구속영장 청구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주진우 기자도 10시 30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전 기자회견장에 잠시 들러 “잘 다녀오겠다”고 말했다. 검찰은 현재 주진우 기자가 ‘허위사실 공표’와 ‘사자 명예훼손’ 혐의에 따라 구속수사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공동 기자회견문을 통해 “검찰의 구속 수사는 부당하다”며 “검찰은 이번 구속영장 신청을 두고 ‘권력의 눈치를 본다’, ‘언론의 권력 비판ㆍ감시 보도를 위축시키려고 겁박한다’는 세간의 비판을 명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당한 의혹을 제기한 주 기자를 구속 수사해야한다며 영장을 청구한 것은 심각히 우려할 만한 일”이라며 “법원이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기자협회 박종률 회장은 “기자의 ‘기(記)’는 말씀 언(言)에 자기 기(己)자를 쓴다. 자기가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말하는 직업인 것”이라며 “침묵하는 것은 기자일 수 없다. 많은 제도권 언론이 불의에 등 돌릴 때 주 기자는 침묵하지 않았고 홀로 나서서 진실을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검찰은 새롭게 거듭나겠다고 다짐했지만 이 같은 무리한 구속영장 청구와 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행태는 ‘권력 눈치 보기’일 수밖에 없다”며 “사법 정의가 남아있다면 법원이 상식에 근거한 판단으로 영장을 기각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김준현 민변 언론위원장도 “주 기자에 대한 구속영장은 법리적으로 아무런 이유가 없고 당연히 기각될 것”이라며 “검찰에서는 증거 인멸 및 도주 우려가 높다고 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는 검찰이 정치권과 권력의 눈치를 보고 언론에 재갈을 물리기 위한 술책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차기 언론정보학회장)는 “언론에 대한 탄압은 과거 정권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기에 더욱 착잡하다”며 “박근혜 정부에서 달라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이번 일만 봐도 앞으로 5년이 걱정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미 성실하게 조사에 응하고 있는 기자를 구속 수사한다는 자체가 심각한 문제”라며 “이는 주 기자에 대한 탄압만이 아닌 다른 언론과 기자들을 구속하려는 것이다. 재판부가 잘못된 의도를 충분히 파악하고 기각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강성남 언론노조 위원장도 “알고도 보도하지 않는 것은 기자가 아니다. 주진우 기자나 ‘정수장학회’ 사안을 보도한 최성진 한겨레 기자는 기자로서 제대로 일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강 위원장은 “이전에는 낙하산 사장 등으로 언론을 억압했다면 박근혜 정부부터는 기자 개개인을 협박하고 재갈 물리는 형태가 됐다”며 “정권의 충견 노릇을 하는 검찰을 강력히 규탄한다. 계속 언론을 탄압한다면 모든 동력을 동원해 국민과 함께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구속됐던 노종면 전 YTN 기자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노종면 전 YTN 기자는 “4년 전 이곳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았다. 제게는 해직기자 외에 MB정부의 유일한 구속 언론인이라는 명패도 붙어있다”며 “이제 박근혜 정부는 주 기자를 박 정부 '1호 구속 언론인'으로 만들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 전 기자는 “권력에 기대는 검찰의 행태와 구속영장 청구는 반드시 실패하리라 믿는다”며 “언론의 독립과 자유 가치를 잊지 않고 끝까지 함께한다면 계속되는 언론 탄압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진우 기자는 법원에 들어가기 전 기자들의 질문에 “기자로서 위협도 많이 받았지만 열심히 취재했고 보도했다”며 “그게 죄가 된다면 어쩔 수 없다. 시대가 아직 이 정도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심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심정을 밝혔다.
강진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