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의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편집위원회 | 입력
2006.06.14 10:25:55
한국일보는 한때 한국의 간판 신문이었다. 그런 한국일보가 벌써 10년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엇 때문인가. 신문시장의 경쟁격화 등 외부적 요인만으로 돌리는 것은 무리다. 한국일보 대주주인 장씨 일가의 족벌경영과 갈등, 투명하지 못한 경영, 조석간 동시발행 등 경영판단실수로 멍든 것이다. 특히 대주주의 정밀하지 못한 공격적 전횡이 경영부실을 좌초한 측면이 크다.
이 땅의 진실한 저널리스트로서 꿈을 갖고 한국일보에 입사한 많은 기자들 이 한국일보를 떠났다. 최근 3년 사이에만 70명 가까이 떠났다. 복지수준은 갈수록 떨어지고 월급도 제대로 지급되지 못하는 한계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기자수가 줄면서 남은 기자들의 근무여건이 더욱 열악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앞으로도 많은 기자들이 한국일보를 떠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한국일보를 떠난 기자들은 다른 언론사로, 정부로, 기업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한국일보가 기자사관학교, 언론사관학교란 말이 결코 거짓이 아님을 보여준다.
한국일보는 기업으로서 ‘사적’ 특성과 함께 언론으로서 ‘공적’ 특성을 갖고 있다.
사적 특성은 기업으로서 살아남는 것이다. 한국일보 대주주와 경영진은 한국일보를 생존시키고 발전시킬 의무가 있다. 특히 대주주는 부실경영의 책임을 지고 더 이상 잘못을 짓지 말아야 한다. 대주주 자신만의 잇속을 챙기지 말고 약속대로 증자에 참여해야 한다. 한국일보 기자 가족들이 굳건히 일어설 수 있도록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얘기다.
기자와 일반 직원들 또한 회사를 살린다는 대의명분아래 뭉쳐야 한다. 소모적인 대립을 이 상황에서 끝내야 한다. 또 마음을 비우고 경영진과 함께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데 협조해야 한다. 지금은 스스로 살아나려는 열의와 변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대주주와 경영진에 실패책임을 묻되 한국일보 일반 가족들에게까지 일방적인 책임을 강요해서는 곤란하다. 단기적인 채권회수에만 급급하지 말고 한국일보가 경쟁력 있게 살아나는 모습을 생각하면서 상호 ‘윈윈’(Win-Win) 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한국일보에 대한 워크아웃플랜처리를 더 이상 늦춰서는 안 된다. 과도한 부채 때문에 현금 흐름상 하루에 3천만원씩 적자가 나는 상황을 하루라도 단축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런 맥락에서 워크아웃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구청 등 관련기관들도 제대로 판단을 해줘야 한다. 주 채권은행인 우리은행 관계자는 “회계법인에서 마련한 워크아웃방안이 그대로 실행되면 한국일보는 살림을 꾸려갈 정도는 된다”며 “채권금융기관 및 관련기관들이 당장의 이익에만 연연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일보의 공적 특성은 언론으로서 진실을 보도하면서 우리사회가 바르게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알찬 정보제공과 함께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바른 보도자세를 견지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한국일보는 투명경영을 직접 보여주면서 그 동안 잃어버렸던 신뢰를 다시 쌓아나가야 한다.
어려운 가운데서도 진실을 지켜나가며 독자들을 만족시켜나가는 노력은 한국일보를 거듭나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주리라 확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