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주요 사업 줄줄이 제동

경기불황 여파 경제지 창간·사옥 매각 어려움

  • 페이스북
  • 트위치

   
 
  ▲ 올해 5월부터 상암동 시대를 여는 MBC는 2011년부터 여의도 사옥을 매물로 내놨으나 부동산 경기침체로 사옥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은 MBC 여의도 사옥 전경.  
 
올해 국내 경기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언론사들이 추진 중인 주요 사업에도 빨간불이 켜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기불황과 신흥국 금융위기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국내 주요 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여파가 언론사에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조선비즈·서울, 경제지 창간 중단
조선일보 계열사인 조선비즈가 추진 중인 경제지 창간 계획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창간 계획은 작년 9월이었지만, 국내 경기상황 등을 감안해 연기되면서 결국 해를 넘기게 됐고, 올해 역시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서울신문도 사정은 비슷하다. 회사채 발행 성공 덕에 여유자금으로 경제매체 창간이나 경제지 인수 등을 모색했지만, 현재는 논의가 사실상 중단됐다. 지난 14일 회사채 발행으로 조달된 자금 400억원 중 200억원을 경제지 창간이나 인수 등에 쓸 것이라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밝혔지만, 이보다는 다른 용도로 쓰일 가능성이 크다.

부동산 경기침체 탓에 언론사들이 추진하고 있는 부동산사업도 칼바람을 맞고 있긴 마찬가지다. 동아 조선 중앙 한경 등 주요 언론사들이 참여한 상암DMC(디지털미디어시티) 사업의 경우 일부 컨소시엄을 제외하고 공실률을 줄이기 위해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MBC는 지난 2011년부터 상암동 이전에 따라 여의도 사옥을 매물로 내놓았으나 새 인수자 찾기가 여의치 않고, YTN은 상암동 사옥에 입주하기 위해 기존 사옥을 매각해야 하는데 부동산 경기 침체 탓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언론사들의 굵직한 사업에 비상이 걸린 것은 국내 경기상황이 불투명해지면서 기업들이 광고 등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언론사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언론사들이 새롭게 추진하는 신규 사업 대부분이 사실상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보단 B2B(기업 간 거래)모델이다 보니, 국내 기업들의 여건에 따라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실제 일부 언론사들이 경제지 창간을 준비하는 것도 구독료보다는 지면에 게재되는 광고 매출확대 등이 주된 목적이다. 신문사는 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구독료(한부당 800원)를 광고 등으로 메우고 있다. 신문사 매출에서 광고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70% 내외다.

유료화 서비스 등 수입 다각화 모색
사정이 이렇다 보니 대부분 언론사가 신규 사업보다는 큰 투자 없이 할 수 있는 사업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 유료서비스와 프리미엄 콘텐츠 유료서비스 등이 이런 맥락에서 시작됐다. 또 일부 언론사는 비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섹션발행을 통해 매출 증대를 꾀하고 있다.

한 언론사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 섹션발행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며 “하지만 섹션발행은 일정 금액 이상의 광고 수주가 확정됐을 때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언론사들이 이런 방식으로 매출 극대화에 나서면서 매출에 대한 책임은 고스란히 기자들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 기자들은 사실상 ‘마른 수건 짜기’식으로 기업에 또다시 손을 내밀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는 것.

하지만 매년 무리하게 매출 목표를 잡을 경우 무리수를 둘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언론사도 기존 사업을 넘어 새로운 먹을거리를 찾아야 할 때라고 관련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메이저신문사 간부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논란이 아니라 결국 회사가 생존해야 기자도 존재할 수 있다”며 “편집권 자유를 요구하기 위해서라도 일정 부문은 감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