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계, 스마트폰 유료화 절실

포털사이트 '퍼주기 논란' 재현…공동대응 필요

  • 페이스북
  • 트위치
주요 언론사들이 앞 다투어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무료로 내놓으면서 유료화 대응이 미흡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는 단순히 스마트폰 ‘유료화 정책’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향후 등장할 ‘e리더’나 ‘태블릿PC’ 등 새로운 플랫폼에도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언론계 공동 대처가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포털에 헐값 퍼주기 재현
10년 전 주요 신문사들은 포털에 뉴스콘텐츠를 ‘헐값’에 넘겼다. 이는 부메랑이 돼 신문 위기를 가중시켰다.

최근 각 사마다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유료화 전략은 사실상 실종됐다.

전자신문이 지난해 1월 말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유료(1.99달러)로 내놓은 이후 매일경제 중앙일보 서울신문 연합뉴스 한국일보 서울경제 아시아경제 등 잇달아 나온 어플리케이션은 ‘공짜’로 제공되고 있다.

한 신문사 기획실 부장은 “매경 연합 중앙 등 주요 언론사들이 이미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무료로 내놓았기 때문에 온신협의 공동대응은 사실상 무의미해졌다”며 “스마트폰 시장이 혼탁해졌기 때문에 유료화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e리더나 태블릿PC 역시 경쟁에서 밀려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또한 네이버의 ‘뉴스캐스트’어플리케이션도 또 다른 논란거리다.

현재 뉴스캐스트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주요 언론사의 참여율이 저조하지만 참여율이 높아지면 스마트폰 안에서 ‘뉴스 퍼주기’논란은 언제든지 재현될 수 있다.

한 신문사 온라인 담당자는 “네이버가 지난해 연말부터 올해 뉴스공급계약을 진행하는데 모바일 계약도 포함시키자는 제안을 했다”며 “현재 뉴스캐스트 어플리케이션에는 주요 언론사들이 대부분 빠져 있어 큰 힘을 쓰지 못하고 있지만 향후 어떻게 바뀔지 이목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료화의 ‘딜레마’
월스트리트저널이나 파이낸셜타임스 등은 스마트폰에서 유료화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파이낸셜타임스는 아이폰에서 기사 3꼭지만 ‘맛보기식’으로 보여준 뒤 이후에는 유료로 가입을 해야만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 언론도 가능할지 여부다. 웹상에서 보여준 콘텐츠를 단지 스마트폰으로 옮겼다고 해서 유료화가 가능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주요 신문사들의 딜레마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유료화하자니 웹상에서 보여준 뉴스콘텐츠와 차별성이 없고 그렇다고 언제까지 무료정책을 고수할 수 없는 상황.

대부분 신문사들이 ‘일단 쫓아가자’는 식이며 유료화 고민은 뒷전이다. 이 같은 행보는 장기적인 투자가 뒤따라야 하는 콘텐츠 차별화보다는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운 뒤 모바일 광고를 통해 수입을 올리자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한겨레 함석진 미디어전략연구소장은 “가디언이나 파이낸셜타임스의 경우 브랜드파워, 고급정보, 독점콘텐츠 등이 일체가 되기 때문에 유료화가 가능하다”며 “일반적인 콘텐츠로는 답이 안 나오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문을 닫는다고 해서 수익이 나올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는 무조건 유료화할 경우 또 다른 ‘진입장벽’을 만드는 셈. 이 때문에 각 사마다 정책적인 판단과 함께 스페셜 콘텐츠 이상의 ‘스페셜한 엔터테인먼트’가 필요하다는 게 대체적 반응이다.

서울신문 박종익 기자는 “지난해 방송에 이어 올해의 경우 각사마다 돌파구로서 스마트폰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주력사업이 되기에 시기상조”라며 “오히려 당장에는 신문사가 제공하기 힘든 게임이나 정보, 위치기반서비스(LBS) 등에서 수입이 가능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유료화 위한 의미있는 변화
지난 6일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한 아시아경제는 15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채용하는 등 유료화 작업을 위한 기본 인프라 확충에 나섰다.

사실상 유료화를 위한 작업에 첫 발을 내딛은 것. 아경은 ‘10아시아’와 연계해 유료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매경은 18일 모바일팀을 발족해 뉴스콘텐츠와 모바일의 유료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중앙의 경우 뉴스뿐 아니라 인물정보·여성·건강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성 유료 어플리케이션을 내놓을 계획이다.

아경 전중연 온라인총괄본부장은 “결국 각 사가 ‘강한 부분’에서 사업모델을 찾을 수밖에 없고 다양한 시도 속에서 유료화 모델이 나올 것”이라며 “과연 경영진이 이를 위해 선투자를 할 것인지 여부인데 많은 경영진이 선도모델이 나올 때까지 기다릴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