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킬러 콘텐츠 없이 불가능

콘텐츠 차별화·유통 표준화·저작권 강화 등 3박자 갖춰야

  • 페이스북
  • 트위치
뉴스콘텐츠 유료화를 위한 과제

뉴스콘텐츠의 유료화에 대한 국내외 언론들의 관심이 또다시 높아지고 있다.
이는 신문판매와 광고수익 등의 매출이 줄어들면서 온라인 콘텐츠의 유료화를 통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포레스터 리서치’가 16일 미국과 캐나다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유료화 이후 계획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 중 80%가 ‘유료화하면 읽지 않겠다’고 답한 반면 ‘돈 내고 보겠다’는 응답은 20%에 불과할 정도로 유료화에 대한 독자들의 저항은 만만치 않다.

그렇다면 온라인상에서 뉴스콘텐츠의 유료화에 대한 방안은 무엇일까.
관련 전문가들은 콘텐츠·서비스 차별화와 함께 유통 표준화 등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현재 뉴스 콘텐츠에 대한 유료화가 어려운 것은 포털 등장 이후 뉴스를 무료로 볼 수 있는 윈도우와 대체재가 많이 생겼다는 점과 언어의 제약 등으로 인한 판매 시장이 제한성 때문이다.
이 때문에 ‘스페셜 콘텐츠’ 혹은 ‘킬러 콘텐츠’가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현재 몇몇 신문사들이 홈페이지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섹션 페이지 등 부가적인 서비스를 만들려는 노력도 궁극적으로 유료화 모델로 가기 위한 시도다.

기존 종이신문 구독자들에게 섹션 페이지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신 비구독자들에 대해선 일정 부분 유료화하겠다는 것.

한겨레 함석진 미디어전략연구소장은 “콘텐츠 자체에 대한 가치보다는 진성 콘텐츠나 커뮤니티를 만들어 이 안에서 기업들이 돈을 지불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오프라인과도 연계한다면 수익을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여러 매체를 가지고 있는 신문사의 경우 같은 주제로 일간지·주간지·월간지 기사 등을 묶어서 유료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실제로 뉴스뱅크이미지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사진에 대한 수요가 가장 많을 정도로 ‘과거 콘텐츠’가 유료화 시장에서 재평가를 받고 있다.
한 언론사 관계자는 “무료시장에 배포되는 콘텐츠에 플러스알파가 있어야지만 유료화에 대한 가능성이 있다”며 “차별화된 콘텐츠와 함께 편리하고 차별적인 서비스가 동반돼야만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전자책(e-book)처럼 새로운 디바이스 등장을 앞두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위한 대책도 필요한 대목이다.

이를 위해 뉴스 콘텐츠의 ‘세분화’작업이 선행돼야 할 뿐만 아니라 뉴스유통의 효율성과 부가가치의 창출을 위한 표준화 작업도 논의 대상이다.

아시아경제 전중연 온라인총괄본부장은 “단순히 수용자가 많다고 포털에 의존하는 유통구조에서 벗어나 전체 유통구조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콘텐츠를 통째로 판매하는 게 아니라 ‘부분별 판매’를 위해 지금부터라도 뉴스콘텐츠를 분야별·기자별로 세부화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다 정부의 뉴스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강화 의지도 중요 변수다. 정부나 기업 등이 뉴스 구매에 앞장 설 경우 일반 사용자들의 인식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지적이다.

조선일보 한 관계자는 “온라인상에서 비디오, 오디오 등에 대한 저작권이 정상화되고 있듯이 텍스트에 대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도 정착돼야 한다”며 “콘텐츠의 차별화와 유통의 표준화이 맞물려 기술적으로 저작권이 보호되는 상황이 조성돼야 하고 정상적인 유통을 확인할 수 있는 UCI 등 같은 콘텐츠식별체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