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 방송진출 환상은 '금물'

채널 확보 위해 이전투구 양상…4~5년간 안정적 자본투입 관건

  • 페이스북
  • 트위치

   
 
  ▲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한국 방송산업 전략발전 토론회’에서 발제자들은 종편 사업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 안정적인 자본력과 경쟁력이 최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요 신문사들이 종합편성채널이나 보도채널에 전사적으로 뛰어들면서 ‘과열양상’을 띠고 있다.
언론계에선 신규 사업자 선정기준이 나오기도 전에 ‘모 언론사는 떼어 논 당상’이라거나 ‘모 언론은 무엇 때문에 안 된다’는 식의 온갖 루머가 나돌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헌법재판소가 다음달 미디어법 위헌여부를 가리는 만큼 김칫국부터 마시면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신문사 전략기획팀 관계자는 “종편이나 보도채널에 진입하기 위한 신문사 간 경쟁이 가열되면서 무리수를 두고 있고 이전투구의 양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구나 컨소시엄 구성이 최대 화두로 떠오르면서 일부 신문사의 경우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 등에 이르기까지 자본참여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과열양상으로 전개되면서 정부에 대한 기대 수준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한국 방송산업 전략발전 토론회’에서 토론자로 나선 매일경제 온기운 논설위원은 “무엇보다 조금조달 능력이 관건이기 때문에 대기업과 은행의 참여가 필요하다”면서 “잠재적 탈락자를 배려하기 위해 YTN, OBS 등에 대한 민영화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지상파DMB 사업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005년부터 시작된 지상파DMB 역시 국책사업으로 ‘황금알을 낳은 거위’가 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 많은 언론사들이 사업자나 콘텐츠 제공사업자로 참여했다.

하지만 지상파DMB 사업은 지난해 2월까지 누적 적자만 2천9백61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규모가 커지고 있다.

한 신문사 관계자는 “지상파DMB사업 역시 당시 정부 정책이라는 점에서 과열양상을 보였지만 현재 누적 적자만 커지고 있다”며 “현 정부가 얼마만큼 지속적으로 정책적인 뒷받침을 할지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향후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방송 진출에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는 자칫 방송 진출로 인해 모기업이라 할 수 있는 신문사마저 경영압박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언론사들은 방송진출을 위한 종잣돈을 마련하기 위해 자산 매각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한 신문사 팀장은 “방송통신위원회가 가상광고와 간접광고를 허용해 준다고 해도 총 2천6백억원의 광고시장이 창출될 뿐”이라며 “공영방송법을 통해 KBS2 광고시장을 풀어준다고 해도 이는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괴기’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컨소시엄에 일단 ‘발을 담그고 보자’는 식의 발상은 위험하다는 게 대체적인 중론이다.
채널 사업권을 따는 것보다 최소 4~5년간 안정적인 자본 투입이 가능하느냐 여부가 시장 안착에 최대 관건이기 때문이다.

많은 신문들이 사업권만 받으면 정부가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줄 뿐만 아니라 대기업 역시 정부 정책이기 때문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는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지만 이 또한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예컨대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책으로 예상되는 특정 장르별로 번호대역을 집중배치하는 ‘채널 연번제’나 지상파 채널 사이에 끼워 넣는 ‘상위 번호 배정’ 역시 SO와 홈쇼핑 사업자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 케이블방송 관계자는 “초기 비용만 3천억원을 투입해야 할 뿐만 아니라 어려울 때마다 증자를 해야 할 텐데 제대로 될지 의문”이라며 “삼성영상사업단이나 현대방송 등을 통해 이미 몇몇 대기업은 실패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대기업의 방송진출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로 인해 일각에선 방통위가 사업선정계획을 발표하고 사업계획서를 쓰게 되면 ‘붐’처럼 일어난 분위기가 가라앉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한 메이저신문사 관계자는 “종편이나 보도채널이나 만약 등록제였다면 과연 누가 하겠느냐”며 “새 사업자를 위해 진입장벽이 생기고 육성한다는 차원에서 정부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