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촛불보도 국가별 차이 뚜렷

  • 페이스북
  • 트위치
미국·영국 “과도하다” 쇠고기 국면 한정
일본 “불안감 이해” 정치·사회현상 접근


한 달 넘게 지속되며 정부에 쇠고기 재협상을 요구하고 있는 촛불문화제. 외신들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상당수 외신들은 여전히 촛불문화제를 ‘쇠고기 협상’ 관련 문제, 부정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국내에서 취재 중인 영국과 미국의 기자들은 “집회가 이성적이지 않으며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A 기자는 “촛불집회 현장만 전하고 있다”며 “민감한 사안이라 뭐라 말하기 그렇지만 시민들에게 피해를 줘가며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영국의 B 기자는 “최대한 중립적 입장에서 전하고 있으나 쇠고기 파문은 한국인 특유의 쏠림현상도 작용하는 것 같다”며 “대미 교역의 득실을 따지는 것이 더 이성적인 접근이다. 국가 신인도 측면에서 좋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시선은 실제 보도된 기사, 칼럼에서도 드러난다.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 “한국의 미국의 쇠고기 수입 협상의 교착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미 의회 비준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며 “미국민이 소비하는 쇠고기도 20% 가량은 30개월 이상”이라고 주장했다. WSJ는 “한국민들이 5주전 시작한 항의 시위가 역사적으로 애증관계에 있는 동맹국인 한국과 미국 간의 정치적 위기로 발전했다”고도 지적했다.

미국의 농업잡지 ‘팜 저널’의 한 고정필진은 3일 한 인터넷 매체에 기고한 글을 통해 “한국은 쇠고기 수입 협상에 직접 나서 체결했으며 어떠한 미국 쇠고기도 거부할 근거가 없다”고 언급했다. 이 필진은 “과학적 근거나 이유 없는 억지”라고 한국민들의 재협상 요구를 폄하하고 “시위대의 동의와 관계없이 협상은 협상”이라고 주장했다.

워싱턴포스트도 4일 보도에서 “반대시위, 대중압력으로 미 쇠고기 개방이 후퇴했다”고 진단했다. 최근들어 영국 유력일간지 타임스와 미국의 포브스, 블룸버그 등은 “이명박식 외교가 촛불민심을 촉발했다”는 한발 나아간 분석을 내놓고도 있으나 핵심에서 다소 벗어난 접근은 여전하다.

이에 대해 촛불문화제가 확산된 근본적 원인을 지적하지 못한 채, 쇠고기 국면에만 매몰된 피상적 접근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이는 쇠고기 협상을 앞둔 일본 언론들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일본 신문 C 기자는 “처음에는 우리 역시 경제부 기자가 촛불집회를 다루는 등 국제 교역문제로 다뤘으나 현재는 정치, 외교부 기자들이 담당하는 등 한국 내 정치·사회적 현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일본 신문 D 기자는 “우리도 쇠고기 협상을 앞두고 있어 한국인들의 분노와 불안감을 이해한다”며 “비폭력 집회 등의 일본에서 보기 힘든 문화적 현상도 조명하려 한다”고 말했다.

D 기자는 상당수 외신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하거나 피상적으로 접근 하는 것은 주로 한국의 유력지로 조선, 중앙, 동아일보를 참고하기 때문일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