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중앙일보 1면에 게재된 '충무3300'과 '충무9000' 보도. |
|
|
중앙일보의 기밀문서 보도가 논란을 빚고 있다.
중앙은 5일자 1면 톱에서 ‘북한 급변사태 대비 정부의 비상계획은…’이란 제하에 국가 2급비밀로 분류된 ‘충무3300’ 및 ‘충무 9000’계획을 상세히 보도했다.
중앙은 이 기사에서 “북한이 붕괴 땐 통치기구를 설치하고 남한의 통일부장관이 ‘총독’역할을 한다”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와 관련 통일부와 일부 출입기자들은 여러 차례 비보도 요청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사를 쓴 것은 “안보의식 부재”라며 강력히 성토하고 나섰다.
통일부 공보담당관계자는 이날 “장관이 국가기밀인 만큼 공개돼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말했고, 공보실서도 기자실을 방문해 비보도 입장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기사화됐다”며 “더구나 기사내용이 대부분 사실이 아닌 내용이 많아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 출입기자는 “비보도를 깬 것은 둘째 치고 많은 내용이 오류인 것 같다”며 “특히 통일부장관 특사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마당에 ‘통일부장관이 총독역할’이라는 부제도 뽑았는데 이는 남북관계를 악화시키는 대표적 경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입기자들은 6일 오전 기자실에서 해당기자에 대한 제재범위와 등록기자제도의 문제점 등 다양한 의견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이 기사를 쓴 중앙일보 이모 기자는 “국가기밀사항인지는 알았지만 이원적 한반도 상황에서 국민들이 알아야 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했다”며 “정부는 (기사에 대해)뭐든지 남북관계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외교통상부를 대상으로 열린 통일외교통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임채정 위원장(열린우리당)도 “5일 회의에서 속기록 삭제를 약속한 내용이 기사화돼 적절한 국정수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발생했다”며 보도에 문제를 제기했다.
김신용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