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장] '열린 채용' 바람직하다

반갑다. 신문, 방송사가 사원채용에서 두터운 응시자격요건의 벽을 스스로 허물고 있다는 소식은.

그 내용은 물론 각 매체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그동안 국가인권위 등에서 평등권침해 조항으로 지적했던 전형조항을 없애거나 바꾸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나이와 학력제한을 폐지하거나, 서류전형을 없애고 필기시험에서 기사작성, 취재능력 평가를 강화하는 것 등…. 특히 한국방송이 신입사원 채용 때 지방대 할당제를 도입하고 장애인 가산점을 확대한 것과 문화방송이 입사지원서에서 출신학교, 출신지, 주소, 가족사항 등의 기재란을 삭제한 것은 획기적이다.

이는 언론사 스스로 성적표와 이력서에 의존해 사원을 뽑는 현행 공채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깊이 각성한 결과다. 언론사가 여론의 중심 매체로서 사회적 편견을 깨뜨리는 이른바 ‘열린 채용’에 앞장서는 것은 바람직하다.

우리는 이런 노력에 박수를 보내며 몇 가지 당부를 덧붙이고자 한다. 무엇보다 아직까지 ‘열린 채용’을 머뭇거리는 일부 언론사에 대해 적극적 동참을 권유한다. 기존 공채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공감한다면, 관행과 구습을 벗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시대의 변화를 선도하는 언론사로서 마땅히 취할 태도라고 본다. 물론 채용제도의 변화 세목은 개별 사업장의 사사(社史)와 특성에 바탕해 오로지 자율로 결정할 문제다.

다음으로 채용제 변화의 형식과 내용이 서로 부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근년에 각 대기업에서 여성채용 확대를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실제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고용의 문이 크게 넓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방송사에서 신입사원 채용방식의 변화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것을 지켜보며 슬며시 스며온 불안감은 거기에 연유한다.

일찍이 학력제한 조항을 없앴던 일부 신문사의 경우에도 실제로 뽑힌 신입사원들이 다른 언론사의 경우와 다르지 않게 고학력, 명문대 출신들로 채워져 왔다. 이는 결국 채용차별 조항을 없애더라도 영어, 상식, 국어 등 필기시험 성적 중심으로 걸러내는 선발과정이 바뀌지 않으면 채용제의 혁신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왕 ‘열린 채용’의 큰 걸음을 내딛은 언론사들은 이 점에 유의해 기자 혹은 언론사 종사자들에게 정말 필요한 자질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정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이 기회에 말해둘 것은 경력자 스카웃이 자연스럽고 정당하게이뤄져 언론사 고용시장의 유연화를 촉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스카웃이 타사 인력을 ‘뺏는’ 것처럼 인식돼 있는 것은 이른바 메이저 언론사들이 우월한 급여를 내세워 음성적으로 경력자 확보를 해 왔기 때문이다. 스카웃은 각 언론사가 필요한 인력을 정당하게 교환하는 묵언의 신사협정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새삼 강조해둔다.

채용과 관련해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장애인 기피다. 올 봄에 본보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두 개의 언론사를 제외하고 대부분 장애인 고용할당률 2%도 채우지 못하고 있다. 부끄러운 일이다. 이를 깨치기 위해 한국방송이 올해부터 장애인 가산점을 확대했다. 다른 언론사들이 이를 따르는 것을 주저할 까닭이 없다. 장애인에 맞는 직무를 언론사에서 찾기 힘들다는 변명은 20세기의 유물로 남겨두자. 우리의주장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