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민실위 "질문하는 기자에 인신공격 자제해달라"

17일 입장문 "비판은 감수해야 하나 도 넘는 공격은 안돼"
대통령실에도 "공격이 선 넘기 전에 시민에 자제 요청을"

  • 페이스북
  • 트위치

대통령실이 지난달 24일부터 출입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을 생중계하면서 기자들이 대중의 표적이 되는 일이 많아졌다. 질문하는 기자를 비판하거나 조롱하는 영상이 유튜브에 매일 같이 올라오고, 이런 영상이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악성 댓글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다. 이에 정신과 치료를 요할 정도로 고통을 호소하는 기자도 있다.

유튜브엔 대통령실 브리핑 및 질의응답 생중계 영상을 활용해 기자들을 비판하거나 조롱하는 콘텐츠, 숏폼 영상들이 많이 올라와 있다.

브리핑 생중계 방침이 고지됐을 때부터 제기됐던 기자들에 대한 공격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자, 언론계에서 자제를 요청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는 17일 ‘질문하는 기자에 대한 인신공격 자제를 요청합니다’란 제목의 글을 통해 “언론의 발전을 위해 날카로운 비판을 계속해 주시되, 인신공격은 자제해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시민들에게 호소했다.

언론노조 민실위는 브리핑 및 질의응답 생중계에 대해 “정부와 언론 모두의 책임성을 강화한다는 면에서 긍정적이지만, 자칫 불편한 질문을 하는 기자에 대한 악의적 공격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애초부터 제기됐다. 질의응답 생중계 실시 한 달을 앞둔 지금 살펴보면 이런 우려는 불행하게도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민실위는 “기자도 잘못이 있다면 당연히 비판을 받아야 한다. 공적 활동을 하는 직업인으로서 어느 정도의 비판은 마땅히 감수해야 할 숙명이기도 하다”면서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신공격이나 도를 넘는 조롱까지 견뎌야 할 의무는 없다”고 했다. 이어 “기자의 질문에 대한 관심도 결국 우리 사회의 문제를 개선하려는 열망의 표현일 것”인데 “이런 모욕과 공격이 사회 발전에 어떤 도움이 될지 시민 여러분께서 잠시 생각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도 했다.

민실위는 또 “많은 비판이 오해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어 보인다”며 “예를 들어 기자가 어떤 주장을 인용하며 대통령실의 입장을 요구한다고 해서 그 주장에 반드시 동의한다는 뜻은 아니”라고 밝혔다. “브리핑실은 대변인과 기자단이 승부를 가르는 결투장이 아님”을 이해해 달라는 것이다.

강유정 대변인이 대통령실 출입기자들을 '참교육'했다는 식의 썸네일 제목을 단 영상이 언론사 유튜브 채널에도 많이 올라온다.

민실위는 생중계 브리핑을 이용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언론사들을 향해서도 “제목과 썸네일을 만들 때 조금 더 세심히 검토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대통령실을 향해서도 “기자단에 대한 공격이 선을 넘기 전에 시민들에게 자제를 요청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밝혔다.

민실위는 “아울러 브리핑에 참석하는 기자들 또한 정확하고 명료한 질문으로 질의응답의 수준을 더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면 언론에 대한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