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기준일 수 없다" 리포트 화제... MBC, 논평 강화 조직개편

10일 저녁 <윤석열의 백주대낮...망상과 비정상 나라의 종말> 보도
MBC, 6월23일 '출입처 중심서 의제 중심 전환' 보도본부 개편

  • 페이스북
  • 트위치

“윤석열은 기준일 수 없습니다. 윤석열은 이제 없어야 합니다.”

10일 저녁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된 <윤석열의 백주대낮...망상과 비정상 나라의 종말> 리포트의 한 문장이다. 이날 6번째 꼭지로 보도된 2분40초 분량의 이 리포트는 온라인상에서 큰 화제를 불러 모았다. 김희웅 MBC 논설위원이 함축적인 문장으로 전직 대통령의 재구속이 갖는 의미를 쉽게 풀어낸 영향이다.

이 리포트는 포털에 송고된 지 19시간 만에 네이버에서만 2000여개의 ‘공감’을, 다음에선 3000여개의 ‘추천’과 ‘좋아요’를 받았다. ‘글자 하나하나 주옥같다’, ‘올 한 해 최고의 기사로 인정한다’는 댓글도 1000여개 달렸다.

10일 저녁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된 <윤석열의 백주대낮...망상과 비정상 나라의 종말> 리포트. /MBC 유튜브

이처럼 화제가 된 리포트의 배경엔 최근 MBC 보도본부의 조직개편이 자리하고 있다. MBC는 6월23일 ‘출입처’ 중심에서 벗어나 ‘의제’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며, 뉴스인사이트팀과 사회의제팀 신설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박범수 MBC 뉴스룸국장은 기자협회보와의 통화에서 “기본 관점은 출입처에서 벗어나 심층 취재를 통해 사회 주요한 의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도 제시하고 문제점도 환기시키려는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방송 뉴스가 논평과 해설을 강화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방송이라는 틀 안에서 논평이나 해설, 칼럼식 뉴스에 대한 수요가 분명히 있음에도 그것이 신문의 영역으로 다 맡겨졌던 측면이 있는데, 방송 뉴스도 이런 영역이 있어야만 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은 사회의제팀과 뉴스인사이트팀의 신설이다. 사회의제팀은 기존 사회정책팀과 기후환경팀을 통합한 팀으로, 환경과 노동, 기후전문기자들이 배속됐다. 이들은 저출생, 연금 등 의제를 중심으로 관련 사안을 집중 취재할 예정이다. 박범수 국장은 “사회정책팀에서 정책을 빼고 의제를 붙인 이유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의제를 중심으로 뉴스를 다뤄보자는 취지에서”라며 “당연히 출입처도 나가고 관련 기사도 쓰겠지만 출입처 중심이 아니라 어젠다 위주로 다룰 예정이다. 기획성이 강화됐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직개편에선 논평과 해설 기사 영역도 강화됐다. 과거 존재했던 논설위원실을 뉴스인사이트팀으로 바꿔 팀장 포함 7명의 고참급 기자를 배치했다. 이들은 논설위원이라는 직함을 부여받아 온라인 기사 및 논평성 리포트 작성을 담당한다. 박범수 국장은 “일선 주니어급 기자들이 작성하기 힘든, 경륜과 혜안이 필요한 기사는 고참 기자들의 영역”이라며 “그런 부분을 시도하려 한 것이고, 어제 리포트도 그런 의미에서 나간 것”이라고 말했다.

10일 저녁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된 <윤석열의 백주대낮...망상과 비정상 나라의 종말> 리포트. /MBC 유튜브

화제가 된 김희웅 논설위원의 리포트는 뉴스인사이트팀 신설 이후 처음으로 시도했던 형식의 기사였다. 왕종명 MBC 뉴스인사이트팀장은 “어제 같은 형식의 리포트가 나간 건 처음이고 지금은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이라며 “아직 업무를 명확히 규정하긴 어렵지만 MBC만의 입장이 담겨 있는 논평성 리포트를 지향하기 위해 시작했다고 보면 된다. 방송은 신문처럼 사설이 없다 보니 논설위원들의 생각이 담긴 ‘롱폼(long-form·긴 분량의 영상)’ 형식의 기사를 작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논평과 해설 기사엔 자칫 자극적인 표현이 사용되거나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박범수 국장은 “공동체 구성원 대다수가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영역을 우리가 찾아내 해설하고 논평한다는 것이 절대적 원칙”이라며 “만약 보편성을 상실하면 그건 논평이 아니라 주장이 되기 때문에 그렇게 되지 않도록 매우 조심하고 경계하려 한다. 아직은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여러 의견이 나올 수 있고, 칭찬이든 비판이든 다 수용할 자세가 돼 있다”고 말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