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민주당, 대선 미디어 정책 협약

15일 국회서 7대 대선 미디어 정책협약 합의
언론노조, 개혁신당·민주노동당과도 추진 계획

  • 페이스북
  • 트위치
전국언론노동조합과 더불어민주당은 15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정책협약식을 열고 7대 대선 미디어 정책협약에 합의했다. 사진은 진성준 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책본부장(왼쪽)과 이호찬 언론노조 위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전국언론노조 제공

전국언론노동조합이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와 제21대 대통령 선거 미디어 정책협약을 체결했다.

언론노조와 민주당은 15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정책협약식을 열고 7대 대선 미디어 정책협약에 합의했다. 7대 대선 미디어 정책은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위한 방송3법 신속 개정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진상규명 및 언론 정상화 △신문 편집의 독립성 확보와 정부 광고 집행 정상화 △실효성 있는 지역신문·지역방송 진흥 방안 마련 △미디어 노동시장 비정규직 처우 개선 △통합 미디어 기구 설치를 통한 미디어 진흥·규제 체제 정비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의 사회적 책무 강화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정책협약식에 참석한 이호찬 언론노조 위원장은 “공영방송의 정치적 후견주의를 끊어내지 못한 과거가 얼마나 큰 피해로 이어지는지 윤석열 정권 내내 뼈저리게 확인했다”며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언론자유와 민주주의를 회복해야 한다. 정책협약이 협약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성과물로 만들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인 언론노조 전국신문통신노조협의회 의장도 “신문의 편집권 독립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주시기 바란다”며 “아울러 지역신문발전기금을 확대해 지역신문이 좋은 콘텐츠를 제작하고 지역민의 정보권 보장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책협약식에 참석한 민주당 의원들은 언론노조가 제시한 미디어 정책을 지키겠다고 약속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인 최민희 민주당 의원은 “방송독립과 언론 자유는 제 평생의 소원이었다”며 “방송독립의 약속을 꼭 지킬 것”이라고 답했다. 과방위 민주당 간사인 김현 의원도 “언론인들이 현장에서 고생 많았다”며 “협약에 담은 약속을 반드시 지키겠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민주당을 시작으로 대통령 후보를 낸 개혁신당, 민주노동당과도 정책협약을 추진할 계획이다. 언론노조는 “내란 사태와 극우 세력의 준동에 따라 더욱 중요해진 언론의 자유와 독립, 공영방송 독립, 언론 장악 진상 규명, 신문 편집권 독립 등 핵심 과제를 정책협약서에 녹였다”고 밝혔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