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등록이 마감되고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 경기·인천 지역 신문들은 이번 대선이 전직 경기도지사들의 맞대결이란 점에 주목해 보도했다. 경기도지사를 지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35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32·33대)는 물론 ‘경기 화성시을’을 지역구로 둔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까지 ‘경기도 정치인’의 3파전에 주목한 신문도 있었다.
경인일보는 이날 1면 머리기사 제목을 <우여곡절 끝 ‘전직 경기지사 더비’ 성사>로 내걸었다. 대선 후보 여론조사에서 1·2위를 달리는 후보가 모두 경기도지사 출신이란 점을 짚은 것이다. 경인일보는 이 기사에서 “이준석 후보의 지역구도 화성 동탄임을 감안하면, 대선의 장이 경기도를 무대로 펼쳐진 셈”이라고 밝혔다.
경인일보는 이어 4면에 ‘경기도지사 30년 대선 도전기’ 분석 기사를 실었다. 이 기사는 “경기도지사는 언제나 ‘대권잠룡’으로 분류”됐으나 “‘잠룡’은 아직 한 번도 별의 순간을 맞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기사에 따르면 경기도지사의 대권 도전은 민선 1기 이인제 전 지사부터 시작되어 이후 대부분의 지사들이 대선 레이스에 뛰어들었지만, 20대 대선에 출마했던 이재명 후보를 제외하고는 본선행 티켓조차 잡지 못했다. 덕분에 경기도지사직은 ‘대권의 무덤’이란 말까지 나올 정도였다.
그런데 이번엔 거대 양당의 대선 후보로 전직 도지사들이 나란히 선출됐다. 경인일보는 “6월3일, 누가 별의 순간을 향해 승천할 수 있을지 주목도가 한껏 높아진 가운데 경기도의 정치적 위상도 덩달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첫 도지사 출신 대통령 탄생은 목전에 와있다”고 했다.
경기일보도 이날 1면 머리기사에서 “헌정 사상 처음으로 ‘경기도지사 출신 대권 맞대결’ 구도가 완성됐다”면서 “경기도라는 거대 생활권의 정치실험장이 대통령선거라는 본 무대로 옮겨진,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로 분석했다. 이어 “두 후보는 최대 승부처라는 의미를 넘어 본인들의 과거 정치 행보를 평가받을 장인 도의 표밭 공략을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일보는 <李지사 vs 金지사, 도정 실적 속에 국정 능력 있다> 제하의 사설에서도 “6·3 대통령선거가 ‘경기도 사람’ 대결”이란 점을 강조했다. 이어 두 후보의 도지사 시절 명암을 각각 전한 뒤 “1천400만 도민이 자연스레 ‘두 지사’의 도정을 추억하게 됐다. 그리고 20일 뒤 각자의 성적을 매기게 됐다”고 했다.
중부일보도 이날 1면 <경기도 정치인 ‘대선 3파전’> 기사에서 “이번 대선의 유력 주자들이 모두 경기도에 정치적인 뿌리를 내린 인물인 만큼, 경기도가 새로운 ‘정치 1번가’로 자리매김하는 모양새”라고 평했다.
중부일보는 “대통령 직선제 도입 후 당선됐던 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 전 대통령 모두 도에 정치적 연고가 없다”면서 “이번엔 ‘경기도 출신 정치인은 대선서 낙선한다’라는 오명이 깨질 공산이 높다”고 했다.
기호일보는 경기도지사 출신 첫 대통령이 탄생한다면 ‘경기지사 국무회의 참석’이 차기 정부에서 실현될지도 관심이 모인다고 전했다. 기호일보는 “역대 경기지사는 민선2기 임창열 지사를 시작으로 손학규, 김문수, 남경필, 이재명, 김동연 지사까지 20여 년간 지속해 국무회의 참석을 요구했다”면서 “하지만 국무회의 규정에 막혀 실현되지 않았다. 국무회의 규정 제8조 1항에 따르면 배석할 수 있는 인물 중 광역지자체장은 서울시장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규정은 대통령령인 만큼 의장(대통령)이 배석을 결정하면 다른 광역지자체장도 국무회의 참석이 가능하다”는 설명을 덧붙인 신문은 “경기지사의 대우를 격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꾸준히 나왔다”면서 “서울시장은 국무총리 산하에 있고 장관급 대우를 받는 반면 경기지사는 다른 광역지자체와 동일하게 행정안전부 산하에 있고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고 밝혔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