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본예산에 50억원 반영됐던 연합뉴스 정부구독료가 254억원 규모로 늘어났다. 13조8000억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이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는데, 여기에 연합뉴스 정부구독료가 204억4300만원 증액된 데 따른 것이다.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는 2003년 제정된 뉴스통신진흥법에 따라 해외 뉴스 및 외국어 뉴스, 남북한 관계·재외동포 뉴스, 지역뉴스, 재난보도 등 공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매년 정부 예산을 지원받았다.
2021년과 2022년 328억원이던 연합뉴스 정부구독료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듬해인 2023년 278억6000만원으로 줄더니 2024년엔 50억원으로 삭감됐다. 정부구독료 삭감 등 영향으로 연합뉴스는 2023년 19년 만에 첫 영업손실(-13억원)을 냈고, 2024년에는 영업적자가 100억원에 달했다.
연합뉴스 관계자는 “이번 추경은 연합뉴스가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서 정부를 대신해 공적 기능을 수행한 결과 발생한 손실분을 보전한 것”이라며 “대폭적인 구독료 삭감으로 인해 예상되는 적자를 면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노조는 정부구독료 증액은 연합뉴스 정상화의 시작이라고 했다.
고병준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장은 “윤석열 정부가 연합뉴스 구독료를 원칙없이 과도하게 삭감하면서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서 수행해야 할 공적기능이 크게 훼손되고, 신규인력 채용 중단 등 회사 운영 전반에 악영향을 크게 미쳤다”면서 “이번 예산 증액은 구독료 정상화의 시작이자 연합뉴스 정상화의 시작이다. 노조는 이 같은 비정상적 상황이 재발하지 않고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투쟁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했다.
김성후 선임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