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한덕수 뒤에 윤석열 그림자… "'계엄 대 반계엄' 대선"

[5일자 조간신문 주요 뉴스]
국힘, 김문수 대선후보 선출했으나 단일화 더 관심
오늘 부처님오신날 법요식서 김문수-한덕수 첫 대면

  • 페이스북
  • 트위치
한국일보 5일자 1면 머리기사.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결정됐다. 김문수 후보는 3일 전당대회에서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한 종합 득표율에서 56.53%를 얻어 한동훈 전 당 대표를 13.06%포인트 차로 이기고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그러나 김문수 후보가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김문수 후보의 선출과 동시에 모든 관심은 앞서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가능성과 그 시점에 쏠려 있기 때문이다. 김문수 후보 선출 소식을 전하는 5일 아침 신문에서도 한덕수라는 이름이 헤드라인에 나란히 걸렸다. 김 후보와 한 전 총리는 이날 조계사에서 열리는 봉축법요식에서 첫 대면을 앞두고 있다.

후보등록 마감일(11일) 전에 김-한 단일화 성사될까

국민의힘이나 김 후보, 한 전 총리 측 모두 단일화 자체에 대해선 이견이 없다. 그러나 시점을 두고는 생각이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한 전 총리 측은 “단일화는 시간이 중요하다”며 단일화 방식을 당에 일임해 신속하게 진행하려는 기류”인 반면 “김 후보 측에선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다.

동아일보 5일자 5면 머리기사.

일단 국민의힘에선 선거 공보물 발주를 넣어야 하는 7일을 “단일화 1차 데드라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당 후보를 선출한 지 며칠 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단일화 논의가 끝날 것으로 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2차 데드라인은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이다. 동아일보는 “11일을 넘기면 한 전 총리로 단일화가 될 경우 국민의힘 기호인 ‘2번’을 쓸 수 없다. 수백억 원에 이르는 당 자금 지원도 받을 수 없다”며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25일을 넘기면 김 후보와 한 전 총리 이름이 모두 투표용지에 노출돼 단일화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최대한 11일 전에 단일화가 성사될 수 있도록 김 후보를 압박해야 한다는 당내 주장도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그림자’ 못 벗어나는 국민의힘

하지만 누가 되든 ‘윤석열 그림자’를 벗어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향신문은 이날 1면 뉴스 분석 기사에서 “누가 되든 ‘윤석열 그림자’를 벗기 어려워 12·3 불법계엄에 따른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대선의 의미를 훼손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 5일자 1면 기사.

경향은 “두 사람은 불법계엄으로 중도퇴장한 윤석열 정부의 총리와 장관으로 일해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며 “이들 중 어느 쪽으로 단일화하든 ‘윤석열 정부 2기’를 꾀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불법계엄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주자들이 대선 레이스 중심에 서면서 계엄 대 반계엄 구도가 한층 뚜렷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고 전했다. 이 기사에서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한동훈 후보가 선출됐다면 민주당 입장에서 찬탄(탄핵 찬성) 대 반탄(탄핵 반대) 프레임으로 가기 어려웠을 텐데, 김 후보가 선출되면서 명분을 만들어줬다”며 “이런 프레임으로 인해 단일화에 따른 중도 확장성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향은 사설 <‘내란 방조’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역사의 퇴행이다>에서도 “내란 수괴 윤석열과의 완전한 절연 없는 국민의힘·보수 후보 단일화는 ‘내란의 강’에 빠지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내란 방조자들이 그들 일정표에 따라 ‘윤석열 시즌2’의 역사적 반동 시나리오를 현실화한다면 민심이 호되게 정신 차리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신문 “어설픈 단일화, 독배 될 수도”

한겨레도 <사과 한마디 없이 계엄·탄핵이 야당 탓이라는 김문수 후보>란 사설에서 “‘내란 옹호’ 김 후보와 ‘내란 정권 2인자’ 한 전 대행의 단일화가 무슨 파급력이 있겠나”라며 “내란 세력을 향한 국민의 분노만 자극할 뿐”이라고 일갈했다.

한겨레는 국민의힘의 관심이 온통 단일화에만 집중돼 있다며 “시간과 비용을 들여 기껏 대선 후보를 뽑아놓고 ‘본게임은 이제 시작’이라고 하는 셈이다. 108석 공당의 선거 결과를 당과 후보가 스스로 우습게 만들고 있다”고도 꼬집었다.

서울신문 5일자 사설.

서울신문 역시 <김문수+한덕수… ‘反이재명’ 정치공학만으로 승산 있나> 사설에서 “단순히 ‘이재명만 아니면 된다’는 연대에 그쳐서는 보수진영의 퇴행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명분 없는 연합은 지지층 결집에 일시적 효과는 있을지언정 무당층과 중도층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며 “유권자를 교란하는 어설픈 단일화는 독배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신문은 “이번 대선은 윤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새로운 헌정 체제를 설계해야 하는 정치적 중대 분기점”이라고 강조하며 “단일화 이벤트를 펼치기 전에 왜 지금 함께해야만 하는지를 국민 앞에 먼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김문수·한덕수의 융합으로 유권자 앞에 어떤 정치 철학을 제시할 수 있는지 분명히 밝힌 뒤 냉정하게 평가받겠다는 각오부터 해야 한다”고 밝혔다.

동아·중앙 “김문수, ‘탄핵의 강’ 건너라”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는 김문수 후보를 향해 ‘탄핵의 강’을 건너라고 조언했다. 동아는 이날 사설에서 “김 후보의 자유 우파식 구호나, 부정선거론자들을 염두에 둔 발언들은 ‘거리의 강성우파’ 정서에 더 가깝다. 김 후보가 공식 후보가 된 뒤로도 이런 경로에 머문다면 중도층 민심이 멀어지면서 대선 가도는 순탄치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후보가 단일화 과정에서 탄핵에 대한 평가,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등을 놓고 일반 여론의 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며 “‘늘 낮은 곳을 바라봤다’고 자임하는 김 후보답게 이젠 국민 눈높이에 맞게 ‘계엄의 강’ ‘탄핵의 강’을 건너야 한다. 그러지 않고는 단일화 승리든 대선 승리든 요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5일자 사설.

중앙일보도 사설에서 “김 후보는 이번 경선 기간 내내 탄핵에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 출당에도 선을 그었다. 이런 기조로 김 후보가 어떻게 탄핵의 강을 건너 ‘반(反)이재명 빅텐트’를 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근본적으로 두 후보 단일화는 단순한 선거공학으로 끝나선 안 되며, 윤석열 정부의 실패를 성찰하고 새로운 보수의 비전을 제시하는 과정이 돼야 한다”며 “두 사람은 윤석열 정부의 핵심 멤버였다. 무작정 반이재명만 외치는 게 능사가 아니다. 탄핵 사태를 철저히 반성하고 그런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다짐이 먼저다. 그래야 탄핵의 강을 건널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