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뉴스검색 기본값 CP사로 제한' 거센 반발

지역·인터넷매체들 공동대응 모색
CP사 비중, 전체 제휴사 10% 수준
이용자의 수정 없으면 CP사만 노출

  • 페이스북
  • 트위치

포털 사이트 ‘다음’이 뉴스검색 기본 설정을 전체 제휴 언론사에서 콘텐츠 제휴 언론사(CP)로 변경하면서 언론사들 반발이 커지고 있다. 기존엔 기사를 검색하면 전체 제휴 언론사 1322곳의 뉴스가 떴지만, 기본 설정이 변경된 이후부턴 별도 수정이 없을 시 146개 CP사의 뉴스만 노출되고 있는 탓이다. 다음의 정책 변경으로 검색결과에서 대거 제외된 지역 언론과 인터넷 매체들은 이번 결정을 강력 규탄하며 공동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앞서 지난 22일 다음은 “이용자의 선호도를 충분히 고려하고 양질의 뉴스 소비 환경을 마련”한다며 뉴스검색 설정 기능을 변경했다. 다음은 “지난 5월부터 6개월간 전체 언론사와 CP사를 구분해 검색결과를 제공한 결과, CP사의 기사 소비량이 전체 언론사 대비 22%p 더 많았고 이전보다 그 격차가 더 벌어졌다”며 “이에 따라 CP사 검색결과를 기본 값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포털사이트 ‘다음’이 뉴스검색 기본 설정을 전체 제휴 언론사에서 콘텐츠 제휴 언론사로 변경하며 언론사들 반발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하루아침에 검색결과서 배제된 언론사들은 강력 반발했다. 단 9개 언론사를 제외하고 기본 값에서 사라진 지역 언론에선 특히나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이윤희 경인일보 편집국장은 “인구 1700여만명에 달하는 경기·인천 지역은 다양한 뉴스를 원하는 독자들의 니즈가 그 어느 곳보다 높다”며 “그런데 다음은 이번 서비스 변경을 ‘이용자들의 선택권을 강화한다’는 취지라고 하면서 사실상 경인지역 제휴사 1곳만 노출시키고 있다. 과연 앞뒤가 맞는 논리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고, 다음의 이번 조치가 지역 언론의 역할을 축소시키는 조치가 아닐지 심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특히 지역 언론들은 다음의 이번 정책이 향후 지역 언론을 고사시킬 신호탄이 될 거라 보고 있다. 언론사의 포털 입점을 심사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지난 5월 활동을 중단한 상황에서 CP사가 될 가능성이 원천 차단당했고, 기약 없는 기다림 중 노출 기회마저 뺏겼기 때문이다. 최재호 광주일보 편집총괄국장은 “요즘 경기가 좋지 않으니 광고·협찬 시장이 위축되면서 지역 언론들이 극단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우리에게 탈출구이자 희망의 메시지가 CP 입점이고, 그래서 제평위가 언제 열릴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입점을 위해 모든 구성원이 한 몸이 돼 열심히 준비를 하고 있는데, 이런 소식까지 들리니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방향성이 보이지 않는다.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우려는 한때 네이버도 뉴스검색 기본 설정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바꿀 수 있단 소문이 돌며 더욱 확산됐다. 다음이 지난 5월 CP사 기사만 검색되는 옵션 기능을 도입한 후 6개월 만에 이번 정책을 시행했는데, 네이버도 지난 8월 비슷한 옵션 기능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경제지 한 디지털전략부 국장은 “카카오가 오래전서부터 뉴스를 축소시키고 있어 유입이 계속 줄고 있었는데, 이번 정책 변경 이후 다음에서만 40% 정도 트래픽이 감소했다”며 “네이버에 비하면 유입 비중이 그렇게 크지는 않은데, 만약 네이버가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할 경우 미칠 파장이 엄청날 거다. 네이버가 따라하지 못하도록 이번 기회에 다음이 정책을 철회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네이버는 이와 관련 “(정책 변경을) 검토한 바 없다”고 답했다.


언론단체들은 현재 공동 대응을 준비 중이다. 한국인터넷신문협회는 29일 오후 비상총회를 열고 내달 1일 가처분 소송과 공정거래위원회 제소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국지방신문협회도 오는 30일 편집국장단 회의를 열어 이번 사태를 집중 논의한다. 인터넷신문협회는 지난 24일 성명에서 “포털의 뉴스선택권 제한은 국민들의 다양한 알 권리를 막는 것일 뿐 아니라 언론시장의 공정한 경쟁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재론의 여지가 없다”며 “국내외 포털 및 검색 사업자는 뉴스선택권을 봉쇄하는 일체의 행위를 중단하고, 제평위를 즉각 재가동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다음은 이번 정책 변경과 관련, 언론사들 의견을 청취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 관계자는 “이용자의 서비스 활용 행태나 반응을 계속 지켜볼 계획”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정책을 변경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