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펀딩받은 3개사 "내년 다양성 기여 콘텐츠 제작에 투입"

GNI '뉴스 공정성 펀드' 시사IN·프레시안·여성경제 선정
'2022 혁신 챌린지'선 연합, 슬리버 선정

  • 페이스북
  • 트위치

구글 뉴스 이니셔티브의 ‘뉴스 공정성 펀드’ 국내 지원 대상사로 시사IN과 프레시안, 여성경제신문이 선정됐다.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 등 이슈에 꾸준히 천착하며 펀딩 대상이 된 매체들은 플랫폼으로부터 받은 지원금을 이 같은 사안을 다루는 뉴스 콘텐츠 제작에 다시금 투입할 예정이다.


구글은 지난 6~7월 공모를 시행한 ‘뉴스 공정성 펀드’ 수혜사 52개국 450개 언론사 등을 지난달 15일 공지했다. 기자 수 50명 미만의 중소 규모 언론을 대상으로 한 펀딩엔 여성, 흑인, 동성애자, 장애인 등 사안을 주요하게 다뤄온 매체가 선정됐으며 국내에선 시사IN, 프레시안, 여성경제신문 등 3개사가 이름을 올렸다. 구글은 펀딩 취지에 대해 “우리의 목표는 포용성 확대를 통해 다양한 뉴스 생태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라며 “특히 중소 규모 언론사가 (소수자, 약자 및) 미디어 주목을 잘 받지 못하는 독자들을 위해 보다 창의적인 저널리즘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내 3개사는 구글로부터 이미 지원금을 지원받은 상태다. “(지원금액은) 뉴스룸의 규모와 접수된 지원서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공지에 따라 매체별 차이가 있음은 짐작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금액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계약조건 때문에 정확한 펀딩액을 확인하긴 어렵다. 현재 이들 매체는 당초 펀딩 취지를 살려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 인권 이슈, 탐사보도 등 뉴스 제작에 지원금을 다시금 투입할 구상을 갖고 계획을 수립했거나 준비 중이다.


차형석 시사IN 편집국장은 “요즘 편집국에서 내년 계획을 짜고 있다. 커뮤니티와 사회 다양성, 공정성을 촉진한다는 펀드 취지에 맞춰 탐사보도 등에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세열 프레시안 편집국장도 “아직 구체적으로 (사용처를) 결정하진 못했지만 펀드 취지에 맞는 콘텐츠를 더 강화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소위 특종의 잣대로 보면 소수자 문제는 요건에 안 맞을 수 있지만 언론이 의무로서 꾸준히 다뤄줘야 하는 경우다. 타 기성언론이 소홀했던 부분을 꾸준히 해도 특종이 아니란 이유로 평가를 박하게 받는 일이 많은데 이를 평가하는 계기이자 계속 보도하는 데 힘이 되는 동기로써 금액이 크지 않더라도 힘이 되는 건 사실”이라며 “구글말고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에서도 이런 걸 하면 의미가 있겠다 싶다”고 했다.


정경민 여성경제신문 대표는 기존 진행해 온 ‘여성’, ‘시니어’ 관련 콘텐츠를 확대하는 데 지원금을 사용할 예정이다. 그는 “지난해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길을 걷는 여성 연작 인터뷰 ‘더우먼’을 해왔는데 확대편성하려 한다. 더불어 장롱 속 주얼리를 찾아 감정을 해주고 사연을 소개하는 코너 ‘더봄’,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케어’에 대한 신년기획 등 3가지에 지원금을 투입하려 한다”면서 “사회적 약자나 시니어 등 잘 다뤄지지 않는 분야를 다루는 매체에 플랫폼이 관심 가져주는 데 고무적으로 생각한다. 플랫폼의 일종의 사회적 기여로서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와 별개로 구글은 지난 6일 ‘2022 GNI 혁신 챌린지’ 아시아태평양 3차 공모전 선정사를 밝히기도 했다. 아태 지역에선 총 10개국 19개 매체가 선정됐고, 국내에선 통신사 연합뉴스와 뉴스플랫폼 슬리버(Sliver)가 이름을 올렸다. 연합뉴스는 ‘즐거운 뉴스 프로젝트’를 통해 뉴스에 게임을 접목, 방대한 뉴스 콘텐츠를 기반으로 독자에게 뉴스 퍼즐, 키워드 맞추기 등 다양한 게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독자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기반을 닦는 것을 목표로 내세웠다. 뉴스 플랫폼 슬리버는 “뉴스와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한 곳에서 배포할 수 있는 CMS 개발”을 제시해 펀딩 대상사로 선정됐다. 지난해 9월 ‘문단 추천으로 완성한 뉴스 큐레이션’을 표방하며 론칭한 서비스는 텍스트 뉴스를 ‘숏폼’ 콘텐츠 유행의 맥락에서 바라본 접근으로 알려져 있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