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보도, 신속·심층성 있었지만 과학적 보도 부족

언론재단 미디어이슈 '이태원 참사 관련 보도 국민 인식 조사'
이태원 참사 뉴스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포털 내 뉴스'

  • 페이스북
  • 트위치

이태원 참사 관련 보도에 대해 국민들은 신속성, 심층성, 정확성, 신뢰성 등에 높은 평가를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태원 참사에 대한 과학적인 보도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이 지난 7일 발간한 미디어이슈 ‘이태원 참사 관련 보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에 따르면 국민 1000명 중 81.2%가 이태원 참사 관련, 언론이 ‘신속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항목에 그렇다(‘매우 그렇다’, ‘약간 그렇다’ 합산)고 답했다. ‘심층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는 내용에는 67.5%, ‘정확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57.8%, ‘믿을 만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56.2%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이태원 참사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는 6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추모객들이 놓은 추모메시지에 대한민국 월드컵 16강 진출 관련 글이 적혀있다. /뉴시스

반면, ‘과학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는 항목에 대해선 61.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언론재단은 “언론이 국내 사안이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내용 확인에 치우치면서 나라 밖 일이라 사안에 대해 좀 더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던 해외 언론과의 비교 때문인 결과”라고 해석했다.

언론재단은 이태원 참사 보도 관련 언론이 이전보다 잘한 점, 못한 점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 조사했다. 언론이 이전보다 개선된 점들 중 가장 높은 동의를 받은 항목은 ‘유가족에 대한 조심스러운 접근’으로, 72.8%의 동의(‘매우 동의한다’, ‘약간 동의한다’ 통합)를 얻었다. ‘희생된 개인에 대한 지나친 사생활 보도 자제’에 동의한 비율은 71.4%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참사 영상 활용 자제’(68.5%), ‘댓글 및 SNS 반응 전달 자제’(65.3%), ‘재난 보도 준칙의 수립과 준수’(65.2%), ‘오보 및 확인 안 된 정보의 전달 감소’(63.3%) 순이었다.

이태원 참사 관련 언론 보도의 문제점에는 ‘사고 원인 및 책임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도 부족’에 동의한 비율이 76%로 가장 높았다. ‘사고 초기 관성적인 24시간 특보 체제’도 73.9%가 문제라고 동의했다. 이어 ‘너무 많은 뉴스의 양’(67.9%), ‘사고 초기 오보 및 확인 안 된 정보의 전달’(67.4%), ‘사고 초기 무분별한 현장 사진 및 영상 활용’(66.5%), ‘사고 초기 무리한 현장 인터뷰’(59.6%)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항목으로 제시된 내용들은 그동안 언론보도 및 여러 평가 자료 등을 참고해 이태원 참사 보도 과정에서 언론이 이전에 비해 개선된 점, 언론의 문제점을 각각 6가지로 분류한 결과다. 국민들이 이태원 참사 보도가 이전보다 개선됐다고 평가하는 동시에 관행적으로 이어져 온 언론의 보도 행태에 대해선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풀이할 수 있다.

국민들이 이태원 참사 관련 뉴스나 정보를 보기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포털 사이트 내 뉴스 서비스’(88%)이었다. 그 다음으로 지상파TV 채널(86.3%), 종편 또는 보도전문TV 채널(76.6%), 지인들과의 대화 또는 통화(68.7%),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62.3%), SNS(52.5%), 메신저 서비스(47.7%), 언론사 사이트(38.7%) 등이었고, 종이신문 비율은 14.6%로 가장 낮았다.

언론재단은 이번 설문에서 평소에 뉴스 이용하는 경로도 함께 물었다. 그 결과 지상파TV 채널, 종편 또는 보도전문TV 채널, SNS, 언론사 사이트 등 4개 경로는 이태원 참사 관련해 평소보다 더 많이 접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은 평소보다 6.5%, 메신저 서비스는 6%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해 보도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4가지 제시문 중엔 ‘희생자 명단 비공개를 원칙으로 유족이 원하는 경우에만 보도해야 한다’를 가장 많이 선택(48.9%)했다. 다음으로 ‘희생자 명단 공개를 원칙으로 유족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만 보도해야 한다’는 33.6%, ‘국민적 슬픔이 크기 때문에 희생자 명단을 보도하지 말아야 한다’ 10.7%,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유족의 동의가 없더라도 공개해 보도해야 한다’ 6.8%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위해 언론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설문조사 전문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11월25일~30일까지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31%p이다.

박지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