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DN 지분 매각검토에 YTN도, 주식시장도 '화들짝'

2년 만에 다시 불거진 YTN 민영화 가능성…노조 "꿈 깨라"

  • 페이스북
  • 트위치

2년 만에 다시 불거진 YTN 민영화설에 YTN 내부는 물론 주식시장도 술렁이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는 민영화설을 “호시탐탐 특혜만 노리던 자본들, 그리고 정치적 의도를 가진 세력들의 준동”으로 규정하며 “공공성 내팽개치는 민영화 꿈 깨라”고 경고했다.

발단은 지난 15일 YTN 1대 주주인 한전KDN(한국전력공사 계열 공기업)이 YTN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의 ‘지라시(정보보고)’가 돌면서 시작됐다. 내용인즉 “한전KDN은 당초 ‘지분 유지’에서 정부의 의견에 따라 ‘매각검토’로 의견을 냈”으며, “이는 산자부를 거쳐 기재부 공공정책국에 의견이 접수됐고 비핵심 자산에 YTN 지분을 포함하기로 결정됐다”는 것이었다. 해당 지라시는 ‘YTN 임원이 사내공지한 내용’이라고 알려졌으나, YTN측에 따르면 이는 사실과 달랐다. YTN 관계자는 지분 매각 등과 관련한 사내 공지나 논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매각검토‘설’만으로도 YTN 안팎은 크게 술렁였다. YTN은 한전KDN 21.43%, 한국마사회 9.52% 등 공기업이 3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해 ‘준공영방송’으로 분류되곤 하는데, 공기업의 지분 매각은 곧 민영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 한전KDN이 YTN 지분 매각 가능성을 검토한 건 맞다. 정부는 지난 7월29일 공공기관 생산성·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을 확정하며 전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8월 말까지 혁신계획을 제출하도록 했고, 한전KDN은 기재부에 낸 계획서에 YTN 지분 매각 등을 포함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고유기능과 연관성이 낮거나, 불요불급한 자산’은 매각 대상이기 때문이다.

한전KDN 관계자는 16일 기자협회보와 통화에서 “저희가 가진 자산 자체가 없으니까 검토할 수 있는 부분이 한정된 거고, (YTN 지분 매각이) 포함돼 있긴 한데 아직은 논의되고 있는 상태고 결정된 건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아직까지 결정된 부분이 없는데 지라시가 돌면서 마치 매각 결정이 난 것처럼 알려져 당황스럽다”고 했다.

그러나 2020년 문재인 정부에서 YTN 지분 매각설이 제기됐을 때와 달리 ‘공공기관 혁신’은 윤석열 정부 주요 국정과제의 하나이고, 특히 한국전력공사의 방만 경영 등 부실 위험성이 집중포화를 맞고 있어서 이번에도 매각설이 검토 단계에서 끝날지는 알 수 없다.

YTN지부는 하지만 “한전의 자회사인 한전KDN이 보유한 YTN의 지분 가치는 수백억 원에 불과하다. 수십조 원에 이르는 한전의 경영 적자를 해소하는 방법이 될 수 없다”며 “더군다나 지금 YTN 주식 가격은 KDN의 매입 가격에 한참 못 미친다. 지분 매각과 동시에 수백억 원의 손실을 한전이 더 떠안게 된다. 한전 주식을 소유한 소액 주주들의 손실이기도 하다. 당연히 법적인 책임도 수반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한전KDN의 지분 매각 검토설은 YTN 주식 거래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YTN지부는 16일 성명에서 “공공기관이 대주주로 있으면서 경영과 보도에 개입하지 않는 YTN의 지배구조는 지난 십수년 간 국내 언론사 중 신뢰도 부문에서 줄곧 1, 2위를 달려온 YTN 경쟁력의 핵심 기반이다. 우리 사회가 인정하는 이같은 가치를 외면하고 공기업의 YTN 지분을 민간에 파는 것은 누구를 위한 선택인가”라며 “정부의 입맛에 맞는 다른 언론에게 주려는 민영화라면 결국 군사정권 시절의 ‘언론통폐합’과 마찬가지요, 친하게 지내는 자본에게 주려는 민영화라면 그것은 특정 기업에 대한 ‘밀실 특혜’일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날 YTN 주식은 한때 전일 대비 22.6% 오른 4550원에 거래됐으며, 전일 대비 240원 오른 395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주식 거래량도 전일 대비 393% 급증한 957만건을 기록했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