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 '언론계 엑소더스' 가시화… 그런데 대책이 없다

[각 사 노조, 사측에 특단 대책 요구]
매체 규모·종류·역사 불문 급증세
조직 허리 받치는 5~6년차 줄퇴사

  • 페이스북
  • 트위치

‘위기다. 뭔가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까지 왔다.’ 지난달 21일 이데일리 노동조합이 낸 성명 중 일부다. 그날 이데일리에선 4~6년차 기자들 3명이 한꺼번에 퇴사 의사를 밝혔다. “각자의 부서와 팀에서 열의를 가지고 좋은 기사를 써내던” 기자들이었다. 남은 구성원들은 동요했다. 노조는 ‘엑소더스(대탈출)’가 이어질까 두렵다며 서둘러 성명을 썼다. 답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회사에 구체적인 비전 제시를 요구했다.


이런 일이 이데일리에서만 일어나고 있을까. 올해 들어 ‘기자들 대거 퇴사’ ‘저연차들의 잇따른 기업행’ 류의 소식이 심심찮게 언론계에 돌고 있다. 거론된 언론사도 한두 곳이 아니다. 언론사 규모와 종류, 역사와 무관하게 곳곳에서 만성적인 인력 유출이 일어나고 있다. 상대적으로 처우가 좋은 종합일간지와 주요 경제지 역시 이 흐름에서 예외는 아니다.


동아일보 노동조합은 지난 9월15일 노보를 통해 최근 10년간 퇴사자를 전수 분석했다. 그 결과, 2012년부터 올해 8월까지 9년 8개월간 동아일보 편집국과 출판국을 떠난 취재기자들이 총 71명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2~2014년 매해 10명씩 3년간 총 30명이 퇴사했고, 이 시기가 지나자 퇴사자가 2명까지 줄었지만 2019년 8명, 지난해 9명으로 2019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동아일보 노조는 노보에서 “연평균 (퇴사자가) 7명꼴”이라며 “올해도 아직까진 7명이지만 남은 3개월여 간 퇴사자가 추가된다면 지난 10년 평균을 상회하게 된다”고 밝혔다.


동아일보뿐만 아니라 국민일보에서도 올해 기자들 10명이 회사를 떠났다. 조선일보에서도 올해 10명 안팎의 기자가 사표를 냈다. 한국경제신문 역시 지난 9월 말 기준, 올해 퇴사자가 38명을 기록했다. 편집국뿐만 아니라 광고국, 독자서비스국, 사업국 등의 퇴사자를 포함한 숫자지만 노조는 최근 수년간 퇴사자 수가 급격히 늘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올해 퇴사한 기자는 2명뿐이지만 매일경제신문에서도 2018년과 2019년 연속으로 10명 이상의 기자들이 나가며 최근 4년간 37명의 퇴사자가 발생한 바 있다.


임금이나 업무 강도 등에서 상대적으로 처우가 좋지 않은 언론사들에서도 퇴사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데일리에선 올해만 14명의 기자들이 편집국을 떠났거나 떠날 예정이고, 이투데이에서도 21명의 기자들이 퇴사했다. 파이낸셜뉴스 역시 10명을 상회하는 인원이 회사를 나가며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종합일간지와 주요 경제지들이 부족한 인력을 이들 언론사에서 수급하며, 연쇄적인 인력 유출이 발생하는 양상이다.


매년 퇴사자들은 있어왔지만 최근 기자들의 잇따른 이직과 전직 현상이 언론계를 뒤숭숭하게 만든 이유는 퇴사자들의 나이와 무관치 않다. 김인원 조선일보 노조위원장은 “인력 유출이 기본적으로 있어왔는데 작년과 올해를 다르게 보는 건, 올해 저연차가 많이 나갔다”며 “그래서 현장에 있는 기자들 체감이 큰 것 같다. 최근에는 5~6년차 기자들도 스타트업으로 꽤 많이 나가서 충격이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8월 한국기자협회 창립 57주년을 맞아 기자협회보가 기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언론사를 그만두고 직업을 바꿀 의향을 묻는 질문에 5년차 이하 기자들의 ‘그렇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5년차 이하가 40.8%, 6년차 이상에서 10년차 이하가 38.8%로, 다른 연차를 앞질렀다. 조성은 국민일보 노조위원장은 “젊은 기자들만 8명이 나갔고, 가장 어린 기수론 3년차까지 나갔다”며 “보통 10년차 조금 이상이면 팀장을 하는데, 기자들이 다 나가니까 이제 몇 년 뒤면 팀장할 사람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젊은 기자뿐만 아니라 평소 조직 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기자들이 떠난다는 점도 동료 기자들에겐 큰 충격이다. 이미지 동아일보 노조위원장은 “과거에도 이직·전직자는 많았지만 요 근래엔 활발하게 활동하고, 두각을 드러내고, 평가도 좋은 기자들이 나간다는 느낌을 받는다”며 “그들의 ‘빈자리’가 더욱 크게 느껴지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한창인, 심지어 조직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기자들은 왜 퇴사라는 쉽지 않은 선택을 할까. 언론사는, 언론계는 이들의 유출을 막기 위해 어떤 해결 방안을 강구해야 할까.

[관련기사] 조직·업계에 느낀 실망이 임계점 넘을때, 기자는 떠난다

강아영,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