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구성원들, 새 인사평가체계 불만 토로

기사 개수·조회수 중심으로 평가
정량적 기준, 편집국 여론 부정적

편집국장 "실적집계, 이미 하던 것"

  • 페이스북
  • 트위치

파이낸셜뉴스가 최근 새로 도입한 기사 개수·조회 수 증감률 중심의 인사평가 기준에 구성원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는 이달 중순 내부 설명회를 열어 새 인사평가 체계를 도입한다고 공지했다. 새로운 기준에 따르면 평기자 인사평가는 실적 75%, 고과 20%, 상벌 5%를 반영한다. 평가 기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실적은 기사 꼭지 수, 홈페이지 클릭 수, 네이버 클릭 수, 지면 점수 등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점수는 전 분기 대비 실적 증감률과 해당 분기의 실적을 순위로 매겨 집계한다. 기자별 상대평가를 통해 상위 10%(100점), 10~30%(90점), 30~70%(80점), 70~90%(70점), 10% 이하(50점)로 차등을 뒀다. 기자들은 매번 직전 분기의 자신보다 기사를 더 많이 쓰고 더 많은 클릭 수를 얻어야 실적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정량적 요소에 치우진 평가 기준에 편집국 여론은 부정적이다. 올 초 인사평가 체계 개편을 앞두고 기자들이 참여한 TF가 꾸려졌지만 이달 회사가 발표한 최종안에는 TF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한다. 파이낸셜뉴스 한 기자는 “TF가 제시한 의견이 크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그 외에 회사 차원에서 어떤 논의도 없었다”며 “내부적으로 새 제도에 반대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기자는 “기사 품질보다 기사 꼭지 수, 조회 수, 단편적인 증감률만 따지는 식이라 평가 자체가 부실하다”며 “회사 조직문화 상 단체행동은 없지만 기자 개개인은 반발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용민 파이낸셜뉴스 편집국장은 새로운 인사평가 기준이 오히려 기존 방식의 문제를 보완했다는 입장이다. 김 국장은 “(기사 개수, 조회 수 등) 실적 집계는 예전부터 해왔다”며 “이번 개편은 기존 시스템에서 절대치만 집계해 발생하는 편차를 완화하기 위해 증감률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