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예술랜드는 어떻게 야산에 불법 도로를 낼 수 있었을까"

[지역 속으로 / 강서영 여수MBC 기자] 여수 돌산 난개발 취재

  • 페이스북
  • 트위치
강서영 여수MBC 기자

규모가 상당하다 보니, 가까이서 볼 땐 길이라기보다는 반듯하게 닦인 언덕처럼 보였다. 드론을 띄웠다. 구불구불하게 산 정상까지 이어진 길이 한눈에 들여다보였다. 지난해 3월, ‘예술랜드 리조트’ 측은 여수시 돌산읍 소미산에 3m 폭의 ‘임시 도로 개설 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6개월 뒤 생겨난 건 3배를 초과한 10m 폭의 대형 도로였다. 산지관리법 위반으로, 엄연한 불법행위였지만 예술랜드는 시공사의 실수였다는 말도 안 되는 해명만 되풀이했다. 업체는 아무것도 없는 야산에 왜 거대한 불법 도로를 냈을까?


추가 제보가 이어졌다. 갯바위가 시멘트에 처참하게 뒤덮여 있는 현장이었다. 이 또한 예술랜드의 소행이었다. 계획 중인 카페의 산책로로 활용하기 위해, 갯바위에 시멘트로 길을 내고 모형 갯바위까지 만들고 있던 것이다. 공유수면관리법 위반행위였지만, 여수시는 갯바위에서 이뤄지는 ‘일반적인 작업방식’이라며 해당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황당한 반응을 보였다. 업체를 두둔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였다. 예술랜드는 여수뿐만 아니라 전남 서부까지 대규모 개발계획을 갖고 있는 대형 관광개발업체다. 대형 관광업체가 불법 개발을 일삼는데, 여수시는 이상하리만큼 미온적이었다. 의심을 거둘 수 없었다.

 

여수시 돌산읍 소미산 불법 도로는 관광지 개발을 위한 초석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예술랜드는 소미산 부지를 공원으로 전환해 모노레일과 대관람차를 설치할 계획을 갖고 있었다. 예술랜드와 여수시의 유착이 의심되는 정황도 함께 쏟아져 나왔다. 예술랜드가 불법 도로에 소매점 건축 허가를 신청했는데, 여수시는 불법 도로를 적발하기는커녕 건축 허가 절차를 그대로 진행했다. 심지어 불법 도로를 적발한 이후에도, 여수시 11개 부서가 예술랜드의 모노레일·대관람차 개발 계획을 지속해서 협의하고 있던 정황도 포착됐다. 이쯤 되면 일선 공무원 수준에서 이뤄진 게 아닐 거란 판단이 들었다.

 

한 관광업체가 여수시 돌산읍 소미산에 불법 도로를 내고, 갯바위에 시멘트를 뒤덮는 등 불법으로 자연을 훼손한 사건이 여수 지역 내 화두다. 사진은 여수 돌산도 관광 난개발 문제 관련 여수MBC의 보도 장면.

입수한 자료들을 다시 찬찬히 들여다봤다. “예술랜드의 관광 개발 계획들을 ‘공원녹지기본계획’에 추가하고….” ‘공원녹지기본계획’이란 키워드에 눈길이 갔다. 대관람차는 ‘공원 부지’에서만 건축이 가능하다. 그리고 산지를 공원 부지로 전환하는 최종 권한은 여수시장에게 있다. 예술랜드의 불법 관광 개발계획을 여수시장이 모를 수가 없고, 모른다면 더 큰 문제라는 걸 의미하는 단서였다. 여수시장이 불법 관광 개발과 연루됐다는 의혹 보도를 이어나간 지 2주 만에, 권오봉 여수시장은 공식 브리핑에서 “경위를 막론하고 송구스럽다”고 발언했다.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에둘러 인정하면서도 예술랜드와 유착 의혹을 부인했다.

 

지자체가 대형 관광업체의 불법 개발을 거들고, 여기에 시정 총 책임자까지 연루됐다는 의혹은 지역 내에서 파장을 일으켰다. 지역 시민단체들이 차례로 불법 개발업체에 대한 처벌과 여수시의 행정조치를 요구하는 성명을 냈고 여수시의회에서 각종 의혹제기와 재발방지 대책을 포함한 시정 질의가 이어졌다. 경찰과 해경도 수사에 착수했다. 지역 언론뿐만 아니라 중앙의 언론들도 이슈를 다루며 힘을 더했다.

 

한 관광업체가 여수시 돌산읍 소미산에 불법 도로를 내고, 갯바위에 시멘트를 뒤덮는 등 불법으로 자연을 훼손한 사건이 여수 지역 내 화두다. 사진은 여수 돌산도 관광 난개발 문제 관련 여수MBC의 보도 장면.

여수는 2012년 엑스포를 기점으로 계획도, 대책도 없이 급하게 관광 개발이 이뤄졌다. 좁은 도로에 펜션이 다닥다닥 늘어서니 주말마다 도로가 막혀 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으며, 하수처리시설이 없어 제대로 정화되지 않은 오폐수가 그대로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이번 사건이 지역 사회의 호응을 받은 이유는 관광 난개발과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에 대해 지역민들이 느끼던 극심한 피로와 맞물렸기 때문일 거라고 짐작한다. 지역민을 외면한 관광 위주의 행정, 관광 업체의 불법을 묵인하는 정황에 지역민들이 분노한 것이다.

 

이번 돌산 자연훼손 사건을 계기로 여수시의회에서는 ‘난개발조사위’를 꾸려 여수지역 난개발의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기로 했다. 난개발을 방지할 제도 개선안도 마련하겠다고 약속해 기대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조사 기간이 3개월로 비교적 짧고, 시정 질의에서 언급됐던 ‘전수조사’는 이뤄지지 않아 아쉽지만 토착세력이 굳건한 지역 사회에서 의미 있는 움직임이라고 생각한다. 여수에서는 돌산뿐만 아니라, 화양면과 경도 등 곳곳에서 관광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제2의, 제3의 소미산 사건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지방 소멸이라는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전국의 지자체가 관광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여수의 사례가 타 지자체들의 본보기가 되길 기대한다.

강서영 여수MBC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