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댓글개편 후, 정치기사 댓글 절반 이상 줄어

언론재단 미디어정책리포트

  • 페이스북
  • 트위치
네이버가 뉴스 댓글 서비스를 개편한 후 기사에 달리는 댓글이 현저히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정치 뉴스의 댓글은 절반 이상 줄어 댓글 개편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 미디어정책리포트 ‘네이버 댓글개편 이후 이용변화와 향후 댓글정책 제안’(2020년 3호, 오세욱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네이버가 댓글을 개편한 지난 3월19일 이전 일주일(3월1일~7일)과 개편 이후 일주일(3월19일~25일) 네이버 뉴스 기사에 작성된 전체 댓글의 수를 비교한 결과 약 41.2% 감소했다. 실제 개편 이전 일주일간 작성된 전체 댓글 수는 590만4064개였지만 개편 이후 기간엔 347만2824개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네이버는 뉴스 댓글 작성자의 댓글 활동 이력을 공개하고 닉네임을 공개하는 등 뉴스 댓글 이력제 도입을 골자로 한 댓글 개편을 진행한 바 있다. 언론재단은 “네이버의 댓글 정책 개편 전후 일주일씩만을 임의로 선정해 비교했음에도 작성되는 댓글의 수가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댓글 이력제 등 닉네임 등의 공개로 인해 자신이 그동안 쓴 댓글이 한 데 모여 공개되는 것에 대한 부담으로 댓글의 작성을 꺼려하게 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치 뉴스 댓글의 감소가 컸다. 개편 전 기간 정치뉴스엔 총 212만3388개 댓글이 달려 경제 39만9788개, 사회 195만3735개보다 댓글수가 많았지만 개편 이후 일주일 동안엔 정치 94만1876개, 경제 29만1302개, 사회 138만496개로 댓글수가 월등히 줄었다. 전반적인 댓글수 감소 속에 경제 섹션 27.9%, 사회 섹션 30.8% 가량 댓글수가 줄었고, 정치 섹션은 56.7%까지 댓글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재단 보고서는 “전체 댓글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네이버 댓글 개편 이전 정치 섹션의 댓글은 전체 댓글의 41.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지만, 개편 이후에는 30.2%로 10%이상 그 비중이 낮아졌다”며 “사회섹션의 댓글은 개편 이전에는 전체 댓글의 37.7%를 차지하였지만, 개편 이후에는 44.3%로 그 비중이 높아져 모든 섹션 중 가장 높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섹션별로 공급되는 기사량의 차이에 따른 결과일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댓글 이력제, 댓글 닉네임 공개 등 댓글 정책 변화가 정치 관련 기사 댓글 작성에 부담을 가져온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고 부연했다. 

이 같은 위축세는 개편 이후 댓글 작성자 수가 준 데서도 드러났다. 개편 전 댓글 작성자 수는 188만6720명이었지만 개편 후 136만1950명으로 약 27.8% 줄었다. 1인당 평균 댓글수 역시 3.13개에서 2.55개로 감소했다. 보고서는 “댓글 수(감소비율 41.2%)보다 댓글 작성자 수가 줄어드는 비율(27.8%)이 낮았다는 것으로, 한 사람이 쓰는 댓글의 수가 개편 이후 줄어든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며 “댓글 개편이 댓글 작성에 부담을 줬을 뿐만 아니라 한 계정을 통해 여러 댓글을 작성하는 행위에도 부담을 준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언론재단 보고서는 댓글수 뿐 아니라 댓글이 많은 기사 1260개에 담긴 반응 현황(훈훈해요, 슬퍼요, 화나요, 후속기사 원해요 수)의 감소세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다만 대부분의 수치가 하락했음에도 댓글의 글자 수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댓글의 글자 수는 개편 전 50.7자였지만 개편 후 58.7자로 10%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 경제 사회 섹션 모두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보고서는 “댓글의 평균 글자 수가 늘어난 점은 댓글 공간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세밀한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고 적시했다. 

이에 따라 언론재단 보고서는 △댓글 작성자의 최근 댓글 작성 순위 등을 공개할 필요가 있고 △최상위 댓글 노출방식을 현재와 같은 고정형이 아닌 변동형(시간대에 따른 최상위 노출 댓글 변경 등) 등으로 할 것을 제안했다. 더불어 △실제 댓글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세밀한 데이터 공개(데이터 수치 스프레드쉬트형으로 다운로드 가능 등)도 필요하다고 했다. 

언론재단 보고서는 “댓글이 상호작용적 공론장으로서 지금까지 존재해 온 것도 사실이며, 제대로 운영한다면 지금까지 지적된 문제점을 넘어 긍정적 기능을 할 가능성이 높다”며 “댓글을 폐쇄하거나 차단하는 것만이 완전한 해법은 아니며 네이버가 스스로 밝혔듯이 향후 댓글 정책을 꾸준히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