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발 매출위기…언론사 대책 부심

미전실 해체로 광고·협찬 급감
비정상적 대기업 의존 줄이고
'콘텐츠 제값받기' 나서는 등
언론시장 정상화 방안 마련해야

  • 페이스북
  • 트위치

A사는 지난 3년간 실적 최고치를 연이어 갈아치웠음에도 올해 불투명한 경영상황 탓에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라 당분간 자연 인력감소 요인이 미미할 뿐더러 대내외 여건도 여의치 않아서다.


신문업계를 중심으로 올해 불투명한 경영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런 우려가 새삼스러운 얘기는 아니지만, 체감하는 온도차가 예전과 다르다는 게 언론계의 중론이다. 국내외 경기상황이 개선되고 있지만 광고시장이 그 낙수효과를 보기까지 시차가 큰 데다 광고주들의 인식마저 달라져서다.


특히 지난 2월말 삼성그룹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미전실) 해체 등에 따른 광고·협찬 관행의 변화가 ‘위기론의 진앙지’가 되고 있다. 더구나 삼성그룹은 미전실 해체와 함께 10억원 이상 기부금의 경우 이사회 의결을 거치도록 의무화했다.


B사 광고국장은 “삼성이 내부적으로 10억원 미만의 협찬에 대해서도 내부 위원회 등을 거쳐 집행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며 “지난달 삼성전자가 제품판매를 위해 집행한 상품광고 등을 제외하고 나머지 계열사가 광고·협찬을 하지 않으면서 경제지의 경우 1분기에만 평균 10~20% 관련 매출이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런 우려는 이미 예견됐지만 미전실이 해체되면서 더욱 가중되고 있는 셈이다. 제일기획이 지난해 10월에 발간한 ‘광고연감 2016’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전체 광고비는 2014년 2374억원에서 2015년 2085억원으로 12.2%가량 쪼그라들었다. 이에 따라 전체 광고비 가운데 삼성전자가 차지한 비중도 2014년 6.2%에서 2015년 5.5%로 0.7%포인트 낮아졌다. 신문업계는 삼성전자와 나머지 삼성 계열사의 광고·협산 예산 비중을 6대4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메이저신문 중 한 곳인 C사 관계자는 “삼성이 올해 1분기 협찬 등을 거의 집행하지 않았다”며 “내부에서도 삼성의 사회공헌사업 예산집행 변화에 따른 여파 등을 우려하고 있다. 예년처럼 집행할 것이란 안이한 태도를 가지는 것이야 말로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기업과 전년도 사업규모를 밑바탕으로 광고·협찬 매출을 잡는 언론사의 비즈니스모델 구조상 삼성처럼 비중이 큰 기업이 정책 변화를 꾀할 경우 일희일비할 수밖에 없다.


또 다른 경제지인 D사 관계자는 “그동안 중단된 광고·협찬을 어떻게 정리할지에 대한 교통정리가 5월쯤 나올 것이란 전망이 있다”면서도 “삼성이 줄일 것인가 말 것인가의 문제가 아닌 얼마나 줄일 것인가의 문제”라고 우려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언론사 입장에선 마른수건 다시 짜내는 식의 경비절감이나 광고·협찬 매출을 대체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찾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부분 신문사가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계치에 다다랐을 뿐 아니라 비미디어사업 발굴 역시 말처럼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콘텐츠 제값받기’ 등 언론시장 정상화가 우선돼야 삼성 등 대기업에 대한 비정상적인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는 게 언론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B사 관계자는 “신문시장 정상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콘텐츠 제값받기인데 포털과의 관계, 언론사 간 공동대응 등 풀어야 할 게 한둘이 아니기 때문에 쉽지 않은 문제”라면서 “어렵더라도 풀지 못하면 지금과 같은 기업의 손목을 비트는 ‘조폭식 비즈니스’를 이어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