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특파원 언론계 트렌드 될까

조선·KBS 등 속속 도입
이슈현장 젊은기자 파견
해외경험 쌓게하자 취지

  • 페이스북
  • 트위치

전통적인 특파원의 임기·파견지를 벗어나 ‘단기 특파원’ 제도를 운영하는 언론사가 늘어나고 있다. 기자들에게 해외취재 기회를 제공하면서 새로운 뉴스를 발굴하려는 움직임이다.


한국경제는 지난달 미국 실리콘밸리를 전담할 단기 특파원을 신설했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를 직접 취재하기 위해서다. 특파원으로 선발된 기자는 오는 7월 출국해 1년간 현지에 머물 예정이다. 한국경제는 실리콘밸리 특파원을 매년 선발하기로 했다.


KBS는 지난해 처음 인도 뉴델리, 중국 선양, 케냐 나이로비에 1년 임기 단기 특파원을 보냈다. 올해도 같은 지역에 파견할 기자를 지난 12일 모집했다. 동아일보·채널A도 지난해부터 중국 단둥 등 북중접경지역, 이집트 카이로에 1년 단기 특파원을 파견하고 있다.


▲1년 임기 ‘단기 특파원’ 제도를 운영하는 언론사가 늘어나고 있다. 뉴스 발생지역 다양화, 젊은 기자 견문 넓힐 기회 제공, 해외연수 비용 절감 등이 단기 특파원 도입 이유로 꼽히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연합뉴스)

일찌감치 조선일보는 해외연수 겸 단기 특파원을 정례화했다. 2009년부터 매년 사내 ‘글로벌 챌린지 프로그램(GCP·Global Challenge Program)’으로 기자·경영직 사원에게 6개월~1년간 해외 연수를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수를 떠난 기자는 40명, 경영직 사원은 20명이다.


현재 기자 4명이 각각 미국(실리콘밸리),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에서 연수 중이다. 기자들은 현지에서 사안이 발생할 때마다 특파원 바이라인으로 기사를 쓴다. 조선일보는 올해 전략 지역을 동남아(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로 정하고 연수자를 모집하고 있다.


언론사의 단기 특파원제 도입의 가장 큰 이유로 뉴스 발생지역 다양화가 꼽힌다. 워싱턴, 뉴욕, 파리, 베이징, 도쿄 등 기존 파견지와 달리 단기 특파원은 실리콘밸리, 인도, 케냐, 이집트 등 새로운 지역에 파견된다.


안현기 KBS 홍보팀장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해 고정 특파원이 없는 지역으로 선정했다. 특히 현재뿐 아니라 미래에도 뉴스 확장 가능성이 큰 곳을 거점지역으로 택했다”며 “기자의 역량을 키우고 해외취재 경험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젊은 기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려는 것도 단기 특파원 신설의 또 다른 이유다. 3년 임기의 장기 특파원은 대부분 차장~부장급 기자가 맡는다. 단기 특파원은 상대적으로 지원 가능한 연차가 낮거나 주니어 기자 위주로 선발되고 있다. KBS의 장기 특파원 지원 기준은 7년차 이상이지만 단기 특파원은 5년차 이상이다. 조선일보 GCP 지원 자격은 입사 2년 이상이고, 동아·채널A도 지난해 단기 특파원으로 5년차 이하 기자들을 선발했다.


이정은 동아미디어그룹 인재경영팀 팀장은 “젊은 기자들을 육성하고 견문을 넓힐 기회를 주기 위해 단기 특파원을 도입한 것”이라며 “중견-주니어 특파원 투트랙 전략이다. 해외 어디든 이슈가 있는 현장으로 젊은 기자들을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란법 이후 외부지원 해외연수가 중단된 상황에서 단기 특파원이 새로운 대안으로 고려되기도 한다. 실제 한국경제 실리콘밸리 특파원은 사내 연수특파원 제도를 통해 선발됐다. 한 일간지 차장급 기자는 “연수뿐 아니라 해외 취재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짧은 기간이지만 특파원이라는 업무를 주고서라도 해외 취재경험을 쌓게 하자는 흐름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기자들의 해외연수 수요와 회사의 비용 부담이 맞물려 이 제도가 지속될 것이라 전망도 있었다. 또 다른 언론사 간부는 “3년 임기 특파원은 가족과 함께 가는 게 일반적이어서 체재비 등이 많이 든다”며 “반면 단기 특파원은 기자 혼자 나가고 지원금도 적다. 국제뉴스를 커버하면서도 회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절충안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달아 기자 bliss@journalist.or.kr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