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부서 "대선 특집 고민되네"

탄핵 여부 따라 조기 대선 가능성
인력 배치 등 특집 제작 시간 촉박

  • 페이스북
  • 트위치

본격적인 정치시즌을 앞두고 디지털부서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여부에 따라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디지털용 대선 특집 페이지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이다. 탄핵이 인용될 경우 2개월 내 대선을 치러야 하는데 개발 시기 등을 감안하면 녹록지 않은 상황인 셈이다.


한 종합일간지 담당 고위간부는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을 1년 정도로 생각하고 지난해 말부터 아이디어를 논의하던 중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전국이 요동쳤다”며 “소요되는 개발 기간 등을 역산해 본 결과, 대선 특집 페이지를 만든데 최소 1개월 이상 걸린다는 결론을 내고 탄핵이 인용되더라도 관련 페이지를 최소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인력을 먼저 투입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당장 현장에 투입할 인력마저 부족하기 때문에 타 부서에서 인력을 빼온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아서다.


그렇다고 탄핵 결정이 나기 전 먼저 치고 나가는 것 역시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헌재 결정 이전 조기대선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비추어질 경우 정치적 논란에 휩싸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메이지신문 관계자는 “헌재가 다음달 13일쯤 탄핵 인용여부를 결정할 것이란 얘기가 나오는데 그렇게 되면 5월에 대선이 열리겠지만 정치적 논란 탓에 미리 관련 콘텐츠를 선보이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특히 중소매체일수록 이런 고민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제한된 인력으로 대선 특집 페이지를 운영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부담이 적지 않아서다.


한 방송사 관계자는 “선관위 등 외부 데이터와 연동되는 서비스의 경우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이 부족한 데다 일부 방송사에만 시청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포기했다”며 “대선 특집 페이지에 투입되는 리소스를 최소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더구나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보여준 ‘실시간 팩트 체크’ 등을 두 눈으로 확인한 국내 독자들의 기대치를 맞추기 위한 언론사들의 고민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 한겨레의 경우 관련 논의를 일찍 진행해 실시간 팩트 체크와 정책 검증 등을 위한 서비스는 가능할 것으로 보았지만 원래 구상했던 원안을 구현하는 데는 시일이 촉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일보 관계자는 “대부분 언론사들이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선보인 실시간 팩트체크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난 미국 대선에서 뉴욕타임스 등이 대선 후보자들의 동선을 VR(가상현실)를 통해 서비스를 했는데 이를 비롯해 여러 가지를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조기 대선이 현실화될 경우 대선 특집 페이지를 둘러싸고 언론사 간 ‘빈익빈 부익부’현상이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중앙 관계자는 “지난 총선 때와 마찬가지로 인터렉티브, 참여 등에 초점을 맞춰 디지털 콘텐츠를 만들 계획”이라며 “비(非) 정치부 젊은 기자들이 중심이 돼 미디어스타트업 ‘퍼블리’와 손잡고 스토리펀딩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도 그 일환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