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민주주의를 일으켜 세울 책임은 언론에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두고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기자협회 등 12개 언론단체가 ‘박근혜 대통령 퇴진’과 ‘언론 진실보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 자리는 그간 ‘최순실-박근혜 게이트’를 외면하고 침묵해 온 공영언론 등 언론계 전반에 대한 개탄과 반성의 뜻을 밝히는 시간으로서 마련됐다.
언론계 전·현업 인사와 단체들이 참여한 언론단체비상시국대책회의는 31일 광화문 광장에서 ‘대통령은 사퇴를! 언론은 진실보도를!’ 비상시국 기자회견을 열고 “말과 글로 이 땅의 민주주의를 일으켜 세울 모든 국민과 함께 할 것”이라며 언론의 사명을 되새기겠다고 다짐했다. 비상시국 대책회의에 참석한 단체는 앞선 두 단체를 비롯해 한국PD연합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자유언론실천재단,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민주언론시민연합, 언론개혁시민연대, 새언론포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언론위원회, 표현의자유와언론탄압공동대책위원회 등이다.
▲언론단체비상시국대책회의는 31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대통령은 사퇴를! 언론은 진실을!'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 위원장은 “KBS·MBC 이른바 공영언론은 다른 매체에서 ('최순실'에 대해) 마구 떠들어 보도할 때도 꼼짝도 하지 않고 해명성 기사 몇 건만 늘어놨다가 대통령이 사과를 하니 그제서야 부랴부랴 나섰다"면서 "언론은 이 국정농단 사태의 공범자들이다. 직무를 유기한 거다. 민주사회가 언론에 부여한 사회적 책무를 내팽개친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우리는 ‘침묵을 향한 경쟁’이 아니라 ‘진실을 향한 경쟁’을 해야 한다"며 "끝까지 진실을 밝혀서 역사를 바로세워야 한다. 그것이 이 시대, 우리 언론노동자들이 부여받은 성스러운 사명이다. 끝까지 진실보도를 위해 함께 싸우자"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속지 말고 진실을 밝혀 역사를 바로 세우자고 당부했다.
이 자리에는 '최순실 게이트' 보도와 관련해 시민들로부터 질타를 받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노조 위원장들도 자리를 찾아 최근 내부의 자성과 반성 움직임, 앞으로의 다짐 등에 대해 밝혔다. 이들은 “죄송하다”는 말을 연발 하면서 ‘현장에서의 투쟁’을 굳건히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윤창현 언론노조 SBS본부장은 “저흰 공범이었다. 대통령이 뭐라고 하면 그래도 대통령이니까 그게 사실인 줄 알고 열심히 받아쓰고 열심히 방송해왔다. 최씨 일가가 뒤에서 무당춤을 추며 조종하는 거대한 인형극을 방송에 내보내고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윤 본부장은 “회사는 ‘청와대와 척지면, 청와대에 밉보이면 어려워진다. 먹고 살기 힘들어진다’는 논리로 내부 기자들을 끊임없이 겁박해왔다. 많은 기자들도 좋은 게 좋은 거라고 이번만 넘겨보자 이런 마음으로 하루하루 현실을 회피해왔다. 그리고 거대한 민심의 쓰나미에 이제 쓸려나갈 지경에 도달했다. 더 이상의 침묵은 죄악”이라며 “더 이상 언론의 본질을 흐리고 이 타락한 정치권력에 줄을 대서 저희의 입을 막아보려는 어떤 시도에도 무릎꿇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와중에 박근혜 정권 아니 최씨 무당 정권이 또 다시 SBS출신 홍보수석을 임명했다. 나라를 거덜낸 이명박근혜 정권에서 청와대로 불려간 SBS인사만 5명이다. SBS가 부패권력의흥신소라도 되나”라며 “SBS경영진은 SBS출신이 홍보수석이 됐다고 거기 기대 사사로운 이익을 취해보려는 어떤 시도도 하지 마라. 용납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성재호 언론노조 KBS본부장은 “죄송하다. 정말 죄송하다”는 말로 말문을 열었다. 그는 지난달 20일께 TF구성 등을 제안했지만 보도책임자 등에게 일축당한 상황을 설명하며 “저희가 더 싸웠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제하고 싸웠어야 한다. 자기검열에 빠졌다. 죄송하다”고 연이어 말했다.
성 본부장은 “지금 KBS기자협회와 함께 보도본부장과 보도국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꿈쩍없다. 책임을 져야 할 보도국장과 보도본부장이 여전히 지금 이 뉴스를, 특보를 주도하고 있다”면서 고대영 KBS사장과 이인호 KBS이사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이 국민께 마지막으로 사죄할 수 있는 기회로 알고 끝까지 싸우겠다. 열심히 싸우겠다”고 했다.
조능희 언론노조 MBC본부장은 최근 MBC취재진이 촛불집회 현장에서 취재를 하다가 쫓겨난 영상이 도는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면서 “2012년 파업 이후 MBC에 (본인이) 알 수 없는 이력의 기자들이 들어오고 있다. 현재 100여명의 취재진들이 그런 사람들”이라고 자조했다. 그는 현재 MBC내부의 상황에 대해 “MBC내부에서 공정방송을 하자고 외치던 기자들, PD들 모두 사라졌다. 다 쫓겨났다”면서 현재 MBC내부, 이에 대해 한 마디도 하지 않는 여당,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등에 대해 비판했다.
조 본부장은 “강한 언론이 강한 정권을 만드는 것이다. 언론을 그렇게 만든 대가는 그대로 청와대로 향하게 되고, 그 피해는 국민에게 향한다”면서 "내부에서 싸우고 있고 열심히 부르짖고 있다. 제대로 돌리라고 얘길하고 있다. MBC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토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발언 중인 김종철 동아투위위원장의 모습.
그는 “언론이 민주화되면 권력이 민주화된다. 그래서 오늘 이 무너지는 나라를 언론인들이 앞장서서 구해내야 된다”면서 “비상대책 위원회를 꾸리고 언론인 모두가 하나가 돼 이 현실을 타개하고, 진정한 민주평화체제를 이룰 수 있는 일에 앞장서길 여러분들과 함게 결의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