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기억하겠다던 약속, 어디로 갔나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 페이스북
  • 트위치

▲세월호 참사 2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경기도교육청 수원 남부청사에서 거행한 추모식에서 도교육청 직원들이 '새로운 교육의 시작'이라고 적힌 추모의 벽에 색색별 리본을 달고 있다. (뉴시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꼬박 2년이 된다. ‘세월호 참사’라는 말의 의미에는 세월호라는 이름의 여객선이 침몰하고 탑승객들을 구조하지 못해 295명이 사망하고 9명이 실종됐다는 사실관계만이 담겨있지 않다. 그 이후 발생한, 이 사건을 둘러싼 수많은 사회적 갈등과 논란, 상처가 함께 침윤돼 있다.


그래서 본래 슬프고 무거운 의미로 기념되어야 할 ‘세월호 참사’에 깊은 답답함과 나아가 마주하고 싶지 않은 사건이라는 의미가 추가되었다. 그것은 유가족들과 많은 시민들이 바라는 진상규명의 출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 더불어 일각에서는 망각과 외면, 심지어 혐오의 정서까지 형성되고 있는 비극적 상황에서 초래된 것이기도 하다.


이런 현실은 현재의 대한민국이 세월호 문제를 해결할 역량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국가의 책임이 분명한 사고에 대해 성역 없이 진상과 책임을 규명한 뒤 그에 합당한 책임을 묻고, 확고한 재발방지 시스템을 건설해내는 역량을 이 나라가 갖추지 못한 것이다.


왜일까? 일차적으로는 현재 정치권력의 책임일 것이다. 현 정권은 유가족과 시민사회단체의 항의와 비판이 선장, 선원과 청해진해운을 넘어 자신들을 향하고 있다고 느낀 순간 마음을 닫아버렸다. 그래서 사고의 직접적 원인을 제공한 청해진해운과 사주, 선장, 선원을 단죄하고 해경 해체라는 조치까지 단행하면서도, 정권과 그 주변을 향할 수 있는 세월호특별법 등의 요구에 대해서는 냉정하게 외면했다. 특조위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허용하지 않은 것은 물론 특조위의 정상적 구성과 활동 지원에도 지극히 소극적이었다. 오히려 유관 기관을 통한 감시에 적극적이었다. 이런 정권의 태도가 유족들의 상처와 사회적 갈등을 더욱 깊게 했으며, 아직도 해소되지 않은 여러 의혹들을 규명하는데 큰 장애가 되었다.


이 점에 있어 우리는 다수 언론의 책임 또한 무거움을 직시하고자 한다. 사건 초기 쏟아 부을 수 있는 취재인력은 죄다 현장에 동원해 취재 총력전을 펼치던 언론은 정권이 이 사건에서 마음을 닫고 있다고 느낀 순간 자신들도 함께 손을 떼버리고 말았다. 손을 뗀 정도가 아니라 ‘천안함 유족과 비교’ ‘수학여행가다 교통사고로 숨진 것’ ‘안타깝지만 이제 산 사람은 살아야’ 같은 프레임을 직간접적으로 유포하기도 했다. 이것은 이 사건에 대한 사회적 피로감을 높이는데 일조했고, 어느 정도 목적을 달성했다고 느낀 언론은 이제 완벽에 가까운 무관심으로 세월호 사건을 대하고 있다. 특히 공영방송 보도국의 경우 세월호라는 단어는 ‘금기어’에 가깝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지금, 세월호 인양작업이 펼쳐지고 있는 맹골수도 현장은 언론이 아닌 유족들이 관찰, 확인하고 있다. 또 특조위 청문회를 통해 조금씩 풀려나오고 있는 의혹의 퍼즐은 언론이 아닌 시민 감시단, 독립 미디어 등을 통해 맞춰지고 있다. 시민을 대신해 기자가 해야 할 일을, 기자를 대신해 시민이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래의 업무를 외면한 언론은 여전히 ‘유족들의 막말’ ‘세월호 의인 자해’ 등과 같은, 정권의 안위와 관계되거나 본질과 관계없는 자극적인 것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 그래서다. ‘세월호 참사’를 진정한 ‘참사’로 만든 주체, 공동체의 구성원이 기억하고 기념해야 할 사건을 피하고 싶고 잊고 싶은 사건으로 변질시킨 주체가 언론임을 우리는 부정할 수 없다. 이 책임을 어떻게 질 것인가?



편집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