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의 질주…점유율 2년새 두배 껑충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조사
매체합산 여론영향력 점유율
KBS-조선일보-동아일보 순
"지상파 하락하고 종편 뜨고"

  • 페이스북
  • 트위치

종합편성채널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21일 발표한 2015년 여론집중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TV방송 부문의 뉴스·시사정보 이용 점유율은 JTBC가 2013년 2.1%에서 2014년 4.2%, 2015년 5.1%로 뛰었고, 채널A 또한 같은 기간 7%에서 10.5%로, MBN도 5.5%에서 6.9%로 올랐다. 특히 TV조선은 2013년 5.9%에서 2014년 10.3%를 거쳐 지난해 10.6%로 껑충 뛰어올랐다. 2013년 5.1%에서 지난해 7.0%를 기록한 연합뉴스TV의 성장세도 눈여겨볼 만 하다.


반면 지상파는 주춤하는 모양새다. KBS는 지난해 29.9%로 1위를 차지했으나 2013년(39.5%), 2014년(34.1%)로 3년 연속 하락했다. MBC는 2013년 12.4%에서 2015년 11.2%로 떨어졌다. SBS 점유율도 2013년 13.6%에서 2014년 11.7%, 지난해 10.5%로 줄어들었다. 위원회는 “지상파 방송 위주의 기존 뉴스 이용 패턴이 종편과 보도전문채널로 분산되는 경향성이 뚜렷하다”고 밝혔다.


뉴스 매체를 갖고 있지 않은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도 주요 언론사 못지않은 영향력을 과시했다. 종이신문·TV·라디오·인터넷 등 전체 뉴스 매체를 합산한 ‘뉴스 이용창구 기준 여론영향력 점유율’은 네이버가 18.1%로 가장 높았다.


KBS 1·2TV 및 다수의 라디오, 인터넷 등이 있는 KBS 계열은 17.0%로 2위, 조선일보와 TV조선, 조선닷컴을 거느린 조선일보 계열은 8.9%로 3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동아일보 계열(7.6%), MBC 계열과 포털 다음(7.3%), SBS 계열(6.1%), 매일경제 계열(4.8%), 중앙일보 계열(4.7%), YTN 계열(4.5%), 연합뉴스 계열(4.0%) 순이었다.


인터넷 사이트 이용 점유율(실제 뉴스 이용 지점 기준)은 네이버(55.4%), 다음 (22.4%) 등 양대 포털이 77.8%에 이르렀다. 반면 조선닷컴(2.1%), 동아닷컴(1.4%), 조인스닷컴(0.8%), 연합뉴스와 매경닷컴(0.7%), 아시아경제와 경향신문, 머니투데이(0.5%) 등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에서 언론사 사이트 전체의 이용 점유율은 0.2~2.1%로 네이버는 말할 것도 없고, 다음보다 크게 낮았다.


언론사 사이트에 접속하는 트래픽이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되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포털을 거치지 않고 언론사 사이트에 직접 접속하는 순방문자는 전체의 2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를 경유하는 순방문자의 비율(44.8%)은 물론 네이버 검색 서비스를 통해 유입되는 비율(24.6%)에도 못 미쳤다.


위원회는 보고서를 통해 “대형 서점의 베스트셀러 코너가 특정 서적과 출판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처럼 포털의 유통 장악력에 의해 언론사의 여론 영향력이 잠식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여론형성 매체의 집중 수준 및 전반적 여론 형성 조건의 변동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2010년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를 설립해 3년 마다 여론 집중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위원장인 윤영철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를 비롯해 미디어, 시장경쟁, 통계 등 각 분야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됐다.


한편 TV 이용 점유율에서 KBS와 MBC, TV조선에 이어 4위를 차지한 SBS는 22일 ‘8뉴스’를 통해 문체부의 여론 집중도 조사가 시청률을 왜곡했다고 보도했다.


SBS는 “지난해 메인뉴스 시청률을 보면 TV 조선이 1%대, MBC 6%에서 7%대를 기록한 반면, SBS는 8% 중반대를 기록했다”며 “월간 기준 12달 모두 시청률에서 앞섰던 SBS의 시청률이 이번 조사에서 반영되지 않으면서 SBS가 MBC, TV조선보다 뒤지는 왜곡현상이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SBS는 “SBS의 경우 서울에서 방송되는 8뉴스 뒤에 지역 민방의 자체 뉴스가 포함되는데, 지역 민방의 뉴스 시청률이 실제보다 매우 낮게 반영됐다”면서 “시청률 조사 업체가 이 부분을 문체부에 설명했는데, 문체부가 이를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김성후·이진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