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이름 안나는게 목표” 신중한 행보
1·29 개각에서 언론의 가장 많은 조명을 받은 인사는 박지원 청와대 정책특보(사진)였다. 한 신문사 정치부 차장은 이같은 관심의 배경으로 ‘핵심에 접근하는 통로가 가장 짧은 사람’이라는 점을 들었다. 여기에 공보수석, 문화관광부 장관, 정책기획수석 등을 지낸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 홍보’에도 주력할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박 특보의 기용이 정부와 언론 관계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제기됐다. 무엇보다 박 특보의 활발한 ‘대 언론 접촉’에 기인한 관측이었다.
현재로선 “정부와 언론 관계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을 일은 없다. 다만 비공식적인 접촉은 이전보다 많아질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한 신문사 간부는 “기본적으로 정권 말기에는 언론과 관계가 편해질 일도, 관계 변화의 여지도 없는 법”이라며 “대통령이 민주당 총재직 사퇴 이후 ‘정치 중립’을 표방한 마당에 박 특보가 굳이 언론에까지 관여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박 특보 자신도 행보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기자들을 단체로 만나는 일은 거의 없다. 가뜩이나 쏠리는 시선들이 많은데 말이 나와서 좋을 게 없는 것 아니냐”며 “본인 스스로 더 조심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 특보는 취임 직후 “내 목표는 신문과 방송에 이름이 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왕특보’, ‘부통령’으로 불리는 주위 시선을 의식한 처신이라는 것이다.
또다른 한 출입기자는 “언론계에 워낙 안면이 많기 때문에 언론계 인사들을 접촉하는 빈도는 늘어날 것”이라면서도 “사실, 현직을 떠나 있을 때도 그런 식의 접촉은 계속해왔기 때문에 특별한 변화라고 짚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박 특보는 취임 전후에도 언론사 사주, 편집국장을 비롯한 간부, 이전 청와대 출입기자 등 언론사 관계자들을 폭넓게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취임 직후인 지난달 30일경 박 특보는 사회부장단과 자리를 가지기도 했으며 이 자리에서 대통령의 ‘호출’로 한시간여 자리를 비우기도 했다. 당시 이 자리에 참석했던 한 신문사 사회부장은 “좋든 나쁘든, 대통령의 신임이 여전하다는 점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언론 관계에 있어 박 특보의 역할론에 대해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공보 경력이 풍부하다보니 그 방면에 대한 조언이나관심을 보일 수는 있겠지만 업무 자체에 관여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면서 “외부 시선이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언급했다.
김상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